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전자조작식품의 건강영향평가

이용수  143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오식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공학』제15권 2호, 11~2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null.null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자조작식품 내지 유전자변형식품(GM: Genetically Modified Crops)과 인간·동물 건강 사이의 상관성을 라트(rat)의 소화관에 대해 조직생리학적으로 연구조사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적용하는 세 가지의 특정적인 형질은 (1) EPSPS-유전자에 의한 제초제 내성, (2) cry1Ab 유전자에 의한 곤충 저항성, (3) cry3Bb1 유전자에 의한 곤충 저항성이다. 이들 유전자는 시판되는 유전자변형 식품·식물(食物)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보면, 인간과 동물이 소비 섭취하는 47종의 유전자변형식품 중에서 9종 (19%)에 대한 21개 연구에서는 이들 3종의 유전자를 발견했으나, 나머지 38종(81%)의 유전자변형식품 중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다. 21개 연구의 67%인 14개 연구는 라트 건강에 대한 유전자변형식품의 총괄적인 건강평가 연구였다. 또한 이들 연구의 대부분라고 할 수 있는 76%는 소비 섭취가 공인된 후의 당해 유전자변형식품에 대해 평가한 건강영향평가 연구이었고, 이중의 절반인 9개 연구는 공인 후의 9년만에 공개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인간·동물 건강영향평가 연구에서도 방법론적인 차이성이 상당하였고, 독성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결과치에 대한 기준과 표준도 애매모호한 편이어서 상호 비교하기가 곤란하였다. 더욱이 각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치 사이의 투명성(transparency)도 결핍되어 있어 상호 비교하기가 어려웠다. 여기서 조사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인간과 동물이 소비 섭취하는 유전자변형식품의 독성(toxicity)과 안전성(safety)을 판정하기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각 유전자변형식품은 그 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평가되어야 하므로, 각 연구의 결과치를 용이하게 상호 비교할 수 있고 재현할 수 있는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의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의 목적은 유전자변형식품(GM food)을 인간과 동물이 안전하게 소비 섭취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증거-기반(evidence-based)의 가이드라인(guideline) 작성에 대한 기반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목차
초록
1. 서론
2. 유전자변형식품의 비고의적 영향과 동물 먹이연구
3. 유전자변형식품의 인간·동물의 위장관 영향
4. 유전자변형식물의 유해성조사 방법
5. 유전자변형식물의 유해성연구 결과
6. 유전자변형식물의 유해성과 리스크
7. 결론
8. 출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오식. (2015).유전자조작식품의 건강영향평가. 개인저작물 - 공학, , 11-20

MLA

김오식. "유전자조작식품의 건강영향평가." 개인저작물 - 공학, .(2015): 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