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오식(Ocica O Kim 金五植)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공학』13권 7호, 41~5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공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null.null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통(統)-반(班) 단위의 근린지역을 형성하는 인근주택지(neighborhood)의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은 21세기에 들어 널리 이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즉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시스템(neighborhood sustainability assessment tools)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개발목표에 대한 성공여부를 가늠하고 있다. 오늘날 주로 이용되고 있는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시스템은 호주,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에서 개발된 7종의 시스템이다. 여기서는 이들 7종의 평가시스템에 대한 그 장점과 단점, 이점과 약점을 산정하여, 미래지향적인 성공적인 적용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도시재개발(都市再開發) 프로젝트가 주로 이루어지고 재개발 활동이 왕성한 통-반 단위의 인근주택지의 개발과 재개발 시에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부여하는 지속가능성 평가(SA)는 환경영향평가(EIA)와 전략환경평가(SEA)의 기본이 된다. 지속가능성(持續可能性)을 평가할 수 있는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지속가능성의 범위, 필수사항, 지역적 적합성, 점수화, 가중치, 참여도, 적용성을 내용분석의 메시지로 이용했다. 내용분석이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을 객관적,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류하고 일정기준에 의거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조사방법이다. 내용분석에서는 메시지(message)로 표현되는 특정 심벌, 명제, 인물 등을 분석단위로 하고, 그들 메시지의 출현빈도의 산정과 출현공간의 계량 및 평가 등을 미리 설정한 카테고리와 판단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조사기법이다. 7종의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시스템에 대한 내용분석의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평가시스템은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경제적, 제도적 측면을 충분하게 고려하고 있지 아니하고, 가중치 부여와 점수화 및 등급화(rating)에는 여러 가지의 모호성과 불충분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지역적 적합성과 참여도에 대한 메커니즘이 없었다. 다만 이러한 평가시스템들은 광범위한 기획 및 계획 체계 속에 위치하고 있어, 그 응용성은 적절한 편이었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1. 서론
2.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
3.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분석 체계
4.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항목 분석
5. 결과 및 고찰
6. 결론
7. 출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오식(Ocica O Kim,金五植). (2013).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개인저작물 - 공학, , 41-56

MLA

김오식(Ocica O Kim,金五植). "인근주택지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에 대한 비교연구." 개인저작물 - 공학, .(2013): 4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