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아일랜드 풍력발전 변풍성 비가공 데이터의 재해석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오식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공학』14권 5호, 55~63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공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null.null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풍력발전이 증가되어감에 따라 풍력시스템의 영향 연구에서는 미래의 풍력발전 방향과 풍력변풍성·가변성(wind variability)의 효율성도 예측해 가고 있다. 풍력 변풍성의 영향을 조사할수 있는 최적 대안은 지상 10m 상부의 풍력발전용 설치기둥인 계류주(繫留柱: mast)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해 풍력발전을 모사하는 기법이다. 그렇긴 하지만, 여기에는 역사적인 풍속기록이나 풍력발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이 문제점으로 생겨나고 있다. 말하자면 역사는 과거사일 뿐이고, 측정기기의 눈부신 발전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에는 더욱 과거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미래예측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구시대·예전 기기의 데이터는 재해석하여 이용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기상·환경 등의 부문에서 그러하다고 할수 있다. 계류주 데이터 즉 마스트-데이터(mast-data)는 풍력발전 바로 그 장소와 지점의 데이터가 아니므로, 완전한 데이터가 될 수 없다. 더욱이 지상 10m의 풍력이 풍력발전의 정확한 위치라고도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풍력발전의 전체적인 프로필(profile)을 왜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의 보완적인 대안으로서는 재해석 데이터(reanalysis data) 기법을 이용해 현재의 기상예보 모델과 결합시켜 완전히 그리드화된 시계열 풍력(gridded wind time-series)을 어느 지역에 대해 해석해 내는 데이터 동화해석 기법(data assimilation technique)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재해석 데이터 세트에서는 재해석 대상을 기상학적 영역의 기록사항 비교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여기서는 재해석 데이터에 의해 모사되는 풍력발전량을 지난 시절의 역사적인 기록사항과 직접 비교해 새로운 결과치를 모색하는 일에 초점을 두는 연구조사이다. 이와같은 비교 해석은 전형적인 해상도 50km 범위의 비가공 데이터의 재해석을 이용해 수행하는 일이지만, 특정의 표적 지역에 대한 값비싼 수치적인 “동적 축소화”(dynamic downscaling)는 수행하지 않는 편이다. 비가공 데이터의 재해석(raw reanalysis data)은 그 수집과 조립·조합 당시의 특성에 의해 세부격자적인 지형도(sub-gridscale topography)의 영역 특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않지만, 당해 지역에서의 마스트(계류주)-기준의 시뮬레이션 이상으로는 비교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비가공 재해석 데이터는 데이터 근원으로서는 상당한 이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목차
초록
1. 서론
2. 연구조사 방법
3. 연구조사 결과 및 고찰
4. 결론
5. 출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오식. (2014).북아일랜드 풍력발전 변풍성 비가공 데이터의 재해석. 개인저작물 - 공학, , 55-63

MLA

김오식. "북아일랜드 풍력발전 변풍성 비가공 데이터의 재해석." 개인저작물 - 공학, .(2014): 55-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