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빌딩의 탄소배출량 산정과 건축물 환경평가 방법의 영향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개인저작물
저자명
김오식(Ocica O Kim 金五植)
간행물 정보
『개인저작물 - 공학』13권 4호, 11~2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공학 > 개인저작물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null.null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축과 건설 부문에서의 지속가능성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건축물 시공사와 설계사는 빌딩환경평가(BEA: Building Environmental Assessment)의 방법을 채용하여, 빌딩 및 건축물의 환경친 화성을 평가하고 있으므로, 탄소배출량(carbon emissions)의 평가는 BEA 모델에서 평가 산정의 중요한 측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탄소배출량 감사(carbon emissions auditing) 및 탄소배출량 기준화(carbon emissions benchmarking)에 대한 기본적인 체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BEA의 방법으로서 생겨난 결과치는 그 변동성과 차이성이 심하여 빌딩의 탄소배출량 감축활동에 혼란을 야기하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주기 탄소배출량(life cycle carbon emissions)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의 빌딩환경평가(BEA) 모델에 의해 초래되는 특성과 기준을 분석하고 규명해 내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 규명에서는 ① 다양한 환경활동 지표 사이의 에너지 효율과 방출량 레벨의 가중치를 찾아내고, ② 탄소 배출량을 고려해야 하는 건물 전주기 단계(building life cycle stages)를 찾아내고, ③ 탄소배출량 평가의 객관성을 찾아내고, ④ 탄소배출량 평가-산정에 대한 기준을 찾아내고, ⑤ 탄소배출량 레벨을 기준화하는 메커니즘을 찾아내고, ⑥ 탄소배출량 평가에 대한 한계치를 찾아내어야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빌딩환경평가(BEA) 계획은 전체적인 빌딩 라이프사이클(building life cycle)을 통하여 생성되는 탄소배출량 대신에 탄소배출량 삭감활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해 평가 빌딩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를 두고 있는 빌딩환경평가(BEA) 방법과 수단(tools) 사이의 탄소배출량 평가 산정의 기준선과 기준의 차이성과 변동성이 상당히 크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BEA 모델링에서는 탄소배출량 감사 및 탄소배출량 기준에 대한 투명한 기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1. 서론
2. 빌딩 환경평가의 방법
3. 총괄사항의 비교분석
4. 탄소배출량의 평가
5. 빌딩환경평가(BEA) 모델의 한계성
6. 결론
7. 출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오식(Ocica O Kim,金五植). (2013).빌딩의 탄소배출량 산정과 건축물 환경평가 방법의 영향 연구. 개인저작물 - 공학, , 11-25

MLA

김오식(Ocica O Kim,金五植). "빌딩의 탄소배출량 산정과 건축물 환경평가 방법의 영향 연구." 개인저작물 - 공학, .(2013): 1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