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pace-Becoming of Young Children’s from the Perspective of Nomadis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인경(In-Kyung Jun) 백지혜(Jee-Hea Bae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1호, 953~9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가 공간과 어떻게 연결되고 관계를 맺어 내부작용하여 공간-되기를 생성해 가는지 Deleuze의 노마디즘 관점으로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D시에 위치한 A유치원 만 5세 유아 19명을 대상으로 9개월간 주 1-2회, 등원시간부터 하원시간까지 참여 관찰하였다. 유아의 놀이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생성을 자연스러운 놀이상황 속에서 유아가 공간에 어떻게 정착하고 이동하며 생활과 놀이를 펼쳐가는지 교사의 관찰일지, 유아 면담자료, 교사 면담자료, 연구자 일지, 놀이 관찰기록 등을 추가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노마디즘의 공간 생성의 의미는 첫째, 제약과 질서를 벗어난 열린 공간, 머물며 유목하는 공간, 연결과 접속을 거듭하며 이어지는 공간의 목적과 기능의 혼성성, 둘째, 새로운 마주침이 있는 공간, 소통하며 생성하는 공유의 공간, 문화적 요소가 반영된 공간, 교육과 생활이 공존하는 유아 삶의 공간의 물질과 얽히는 확장성, 셋째, 일시적 우연의 순간이 중첩되는 공간, 배회하며 접속하는 공간의 일시적 접속의 반복성이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가 공간의 고정적 특성을 극복하고 몸과 사유의 이동을 통해 자신의 놀이와 일상 그리고 삶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공간-되기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기존과는 다른 차이를 생성하여 창조적 사유를 이어가며 자신만의 공간-되기를 끊임없이 실현하는 유목민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s nomadism, focusing on how children connect with and relate to space, engaging in internal interactions that generate “becoming-space.”
Methods The research involved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19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 in city D over nine months, with sessions conducted once or twice weekly, from arrival to departure. Observations of children's spontaneous play and everyday interactions were supplemented with teachers' observation records, child interviews, teacher interviews, researcher journals, and play observation records to examine how children settled into, moved within, and expanded their daily lives and play within spaces.
Results The meaning of spatial generation based on nomadism can be understood in three dimensions. First, space is open and freed from constraints and order, where children dwell and wander, continually forming hybrid purposes and functions through connection and reconnection. Second, space becomes a site of new encounters, a shared space generated through communication, a space reflecting cultural elements, and an expanded space where education and everyday life intertwine as part of children's lived experiences. Third, space consists of overlapping moments of temporary chance, repeated transient connections formed through wandering and interactions.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how young children overcome the fixed characteristics of space, creating new values in their play, daily life, and lived experiences through movement of the body and thought—thus engaging in a process of becoming-space. It confirms that children are nomads who continuously generate difference and creative thought, constantly actualizing their own unique becoming-spa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본 미국에서의 한국 전통음악 교육현황 및 연구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관련 연구 동향
- 중국 남창시 피아노전공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제조 기술 관련 단원 체제 분석
-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과 분리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및 수업 지원방안 탐색
- 무전공(전공자율선택) 입학생의 전공 및 교양과목 수강신청 기준과 학과 선택 요인 탐색
- 초등교사의 또래 교수 활동 실행을 지원하는 AI 코스웨어 기능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 유아동작교육 수강 전·후 교육대학원생의 동작활동에 대한 태도 변화
-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전문성과 책무성이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통합 요리활동이 유아의 식습관과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있는 보육교사의 유보통합에 대한 담론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인식 탐구
- 턱걸이 운동 시 근막이완 요법 적용이 근활성치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사가 상담현장에서 겪는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성인진입기 청년직장인의 그릿과 조직지원인식이 몰입과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intensive care nursing education on th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of nursing students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전문성과 AI 리터러시 및 AI를 활용한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분석
- 국내 대학생의 학업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 한부모 가족 아동의 놀이치료에 대한 연구동향: 2002년~2023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어려운 역사(difficult history)로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반응 분석
- 외상 경험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정신화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말하기 과제 개발과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대중가요 활용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가 다문화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또래관계에서 인기유아의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은둔형 외톨이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진로효능감 증진을 위한 진로내비게이션 프로그램 효과 분석
- 원장의 안전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안전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장-교사관계와 교사 안전의식의 이중매개효과
- 자기비판적 우울 내담자의 상담을 통한 자율성 변화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연구
- 생존혼합분석을 적용한 어머니 중증 우울 발병 시점의 결정요인과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차이 검증
- 모바일로보틱스 직종에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설계 접근법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 영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과 양육태도 간 관계: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 코로나19로 변화된 일상에서 한국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의 관계: 제16-17차(2020-2021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이용하여
- 레지오 접근 실천 유치원에서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의 이야기
- 노마디즘 관점으로 바라 본 유아들의 공간-되기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1호 목차
- 장애위험 영유아 특징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척도의 타당성 검증 및 수정모형 제시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생명의료윤리의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연명치료중단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기업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전이의 선행 및 결과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유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이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 대한 신뢰감의 조절 효과
- 발명교육센터의 현대화 시설 개선 사업 사례 분석 및 시사점: G광역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유아 인공지능 관련 글로벌 연구 동향: Web of science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 학업지속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 성인애착회피와 대인관계문제 간 구조적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인지적 유연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관련 연구 주제 및 동향 분석
- 애니메이션 영화의 서사구조 자각을 활용한 교양영어수업 효과
- 영아교사를 위한 감정코칭 프로그램이 민감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연구
- 고등교육 분야의 학습자중심 테크놀로지 통합교육에 대한 평가: 비판적 문헌 분석
- 음악교과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음악교사의 수업 실천 및 인식 연구
- 보육교사의 직업선택동기와 직업존중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및 생활체육 만족도 분석
- 미용 전공자의 반영구메이크업 교육에서 메타인지능력,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한 영유아 미술 대학교재 내용 분석
- 특수교육대상자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개인중심계획 기반 의사결정 웹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 고등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 수준과 자기효능감 요인 간의 관계 연구
- 소규모학교에서의 상담사 근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를 중심으로
- 아동기 정서적 학대가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난과 부정긴급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의 심리적 안전과 학습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매개효과
- 보건의료 학생들의 인공지능 준비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 개발 및 효과 분석
- 고등학교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공동체역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정서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성찰 및 통찰력이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모애착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20대 성인의 지연행동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