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Level- and Stage-Based Rolling Program in Mat Exercis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오준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121~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체조 교육을 활성화하고 기본움직임기술(FMS) 교육자료를 보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준 및 단계별 구르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초등교사 79명을 대상으로 총 8차시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사전‧사후 검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 검증은 구르기 동작에 대한 인식과 수업 운영 자신감의 변화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하고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설문과 소감문을 함께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8차시 프로그램 적용 후에 구르기 동작의 이해도와 흥미, 두려움 감소 등 모든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특히 흥미와 두려움 감소에서는 여학생 집단의 변화가 더 크게 관찰되었다. 둘째, 구르기 수업 운영 자신감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고, 이 중 동작 이해 및 지도 자신감과 정확한 평가 자신감 영역에서 여학생 집단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아울러, 수준 및 단계별 학습과 지도법,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조법, 성공 경험에 따른 자신감 향상 등에서 뚜렷한 인식 변화를 보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실질적으로 검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level- and stage-based rolling program to promote gymnas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vide instructional resources for Fundamental Movement Skills (FMS). A total of 79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an eight-session learning program.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program’s effectiveness. Changes in perceptions of rolling skills and confidence in class management were evaluat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reflective essays were collected to obtain more detailed information and enhanc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analysis revealed two main find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eight-session program,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all aspects of rolling skills, including understanding, interest, and reduction of fear. Notably, greater improvements in interest and reduction of fear were observed in the female group. Second, confidence in teaching rolling exercises increased across all five components of instructional confidence, with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s among female participants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and guiding rolling movements and accurately assessing performance. Additionally, noticeable shifts in perception were observed regarding level- and stage-based learning methods, instructional strategies, safety support techniques to prevent accidents, and confidence enhancement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These results confirm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안무 지도 방법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가능성: 소년소녀합창단 사례연구
-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국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 체계 개선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초등 체육 수업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의 활용 가능성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교육에서의 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SSI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행위주체성 발현에 대한 사례연구
- 인공지능 활용 리버스 엔지니어링 수업 지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