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Improving Teacher Education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hysical Education Expertise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고문수 이대형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105~1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을 위한 초등 예비 교사교육과 초등 현직 교사 교육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초등교사 경험이 있는 스포츠 교육학 전공의 대학교수 2명과 스포츠 교육학 전공의 초등교사 1명이다. 본 연구자는 2025년 1학기 동안(2025.5.18.~6.15)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교육과 초등 현직 교사 교육의 개선 방향의 공통점을 교육과정 측면, 교수․학습 측면, 교사 교육 측면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 교사교육과 초등 현직 교사 교육의 교육적 의미는 교육과정 측면, 교수․ 학습 측면, 교사 교육 측면으로 범주화되었다. 교육과정 측면의 교육적 의미는 체육수업의 실천 가능성과 교육적 활용도 강화 그리고 전인교육 및 창의․인성 함양 실현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측면의 교육적 의미는 학생 참여도와 몰입도 향상, 학습 지속 동기 부여, 미래 지향적 체육수업 모델 구축 등이 도출되었다. 교사 교육 측면의 교육적 의미는 수업의 질 향상, 체육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협력 중심의 체육교육 발전, 현장 적응력 강화 및 지속적 성장 지원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in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o university professors majoring in sport pedagogy with experience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majoring in sport pedagogy.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5 (May 18–June 15, 2025).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alities i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elementary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curriculum aspects, teaching and learning aspects, and teacher education aspects. Seco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elementary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curriculum aspects, teaching and learning aspects, and teacher education aspects. Specifically,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curriculum was expressed as the practical feasibility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realization of holistic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include improving student participation and immersion, motivating students to continue learning, and establishing a future-oriented physical education class model.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eacher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improving the quality of classes, positiv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of cooperation-centered physical education, strengthening field adaptability, and supporting continuous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안 찾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안무 지도 방법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가능성: 소년소녀합창단 사례연구
-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국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 체계 개선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초등 체육 수업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의 활용 가능성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