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수희(Suhee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826~84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학습자에 효과적인 제도 설계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 중 2019년도에 수집된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졸업자 5,470명의 응답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t-test 하였으며, Process macro V4.3 Model 1으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복수전공 이수 여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복수전공을 이수한 집단이 미이수 집단보다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복수전공 이수 집단의 경우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첫째, 복수전공 이수를 적극 장려하고, 행정적·학업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 학습자의 학습 몰입과 성과를 높여야 한다. 둘째, 학문 간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복수전공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복수전공 과정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복수전공을 ‘취업 전략’이 아닌 지적 성장을 위한 교육적 장치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whether students complete a double major,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institutional design for learner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ponses of 5,470 gradua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llected in 2019) were extracted from the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was examined using Process macro V4.3 Model 1.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ouble major completion. Second, the group that completed a double majo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oth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resence of a double maj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dicating a stronger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double major group.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double major completion and establish administrative and academic support systems to enhance learners’ engagement and performance. Second, expanding interdisciplinary fusion education programs is recommended to maximize the synergy effect of double majors. Third,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satisfaction in the double major process should be sought. Fourth,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double majors—from a mere “employment strategy” to an educational mechanism for intellectual growth—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 축구선수들의 그릿과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운동만족의 이중매개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정서지능 및 교수창의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자료와 가능성’ 영역의 교수·학습에서 공학 도구 활용 방안 비교: 통그라미와 GeoGebra 중심으로
- 대학 교양교육 연구의 발전 경향 분석: 재정지원사업 이후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성인학습자 연구의 지형도: 국내 대학에서의 연구 경향과 미래 과제
- 지역사회 자원 활용 평생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Y시 5060세대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학생들의 책읽기 동기와 전략에 관한 논의
- 초등교사양성기관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선 연구: 네브라스카 주립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유아 교사의 놀이 지원 역량이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에서 간호정보활용역량의 매개효과
- 사회언어학적 변인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화행 연구
- ‘음악으로 읽는 그림책’활동이 만 4세 유아의 마음이론과 공감능력,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본 성인 독서 모임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교육
- 직업계고 교원의 AI 및 디지털 역량 진단과 교육 요구도 분석
- 웰다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노인의 웰다잉 인식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조망수용능력 향상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정신과 치료 경험이 없는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차별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친사회적 학교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 온라인교육을 선호하는 대학생은 어떤 특성을 가졌을까?
- 상담자의 괜찮은 일 인식에 대한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 대학 성인학습자 포용을 위한 과학기술분야 시민 교육과정 개발연구: 학습자원 기반으로의 회귀
- 베트남대학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쓰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사고구술 분석을 중심으로
- 데이터 기반 학교폭력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제안
- 지역아동센터 돌봄서비스가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0-2세 영아보육과정 관련 연구동향 탐색: 2005년~2024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코로나19로 인한 학사 운영 조정을 경험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리력 발달 양상 분석
- 인지행동치료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중학생의 디지털 매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한 IB MYP 예술 목표 기반 중학교 미술과 미디어아트 교수·학습 접근 방법 탐색
- 빅데이터 기반 영어과 AIDT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국내외 논문 및 국내 웹 뉴스 동향의 비교 연구
- 중국 쿤밍 테러 사건에 관한 4개국 뉴스 보도 기사의 비판적 담화분석: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분석에 기반하여
- 자율전공 학생을 위한 교육 방법 및 체제 설계 사례연구
- 현장적용 방안을 위한 5세 유아 과학교육 실험연구 동향 분석
- Q방법론을 활용한 상담기관 선택에 관한 내담자의 인식 연구
- 유아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 및 지원요구
- 장애 체험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장애인식, 공감능력 및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평가 스트레스와 학업 소진 간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분석
- 한국어 불평 화행 학습 보조 도구로서의 ChatGPT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생활적응 유형에 따른 대학 교육서비스 만족도와 중도탈락 의도 차이: 수도권 소규모 대학을 중심으로
- 보육교사의 일과 삶의 균형이 보육 헌신 및 협동적 조직 문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교현장실습학기제의 효과 연구: 핵심역량, 인성, 교수효능감을 중심으로
- 공립초등대안학교 교사의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시행착오’를 통해 바라본 학생의 수학적 이해
-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정신화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성소수자(LGB)가 겪는 성적지향 마이크로어그레션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회피 중심 대처를 통한 긍정적 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아동이 보고하는 ADHD 증상과 또래관계와의 관계에서 부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 Parents' Experiences with Childbirth and Parenting Policies and Thei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 Study of Families with Newborns in 2023
- 아동의 미디어 이용 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인식과 연명의료중단 태도와의 관계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의 매개 효과
- 무전공 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ultigroup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Change-Related Emotions and Practice Competency, as well as Such Responses·Prospects by Gender in Korean Children
- 간호대학생의 재난지식, 재난간호역량, 교육요구도 분석과 재난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 A Study of Listening Activities and Language Features in the Listening Sections of the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3 Textbooks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미래지향시간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LT 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국악 창작 수업 설계원리 개발 연구
- 초기 성인기 직장인의 분노 감정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 간호학생의 국제보건역량과 국제개발협력의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 교양영어 문단 쓰기 수업 고찰: 글쓰기 과제와 학습자의 견해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0호 목차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인구교육 내용 분석: 2022 개정 도덕, 사회,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tecticus tenebrifer의 Life Cycle에 따른 생물학적 활용
- 코스페이시스와 메이키메이키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VR 시스템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