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이용수  68

영문명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수희(Suhee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826~843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복수전공 이수 여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학습자에 효과적인 제도 설계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 중 2019년도에 수집된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졸업자 5,470명의 응답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t-test 하였으며, Process macro V4.3 Model 1으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복수전공 이수 여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복수전공을 이수한 집단이 미이수 집단보다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복수전공 이수 집단의 경우 전공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첫째, 복수전공 이수를 적극 장려하고, 행정적·학업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 학습자의 학습 몰입과 성과를 높여야 한다. 둘째, 학문 간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복수전공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복수전공 과정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지원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복수전공을 ‘취업 전략’이 아닌 지적 성장을 위한 교육적 장치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whether students complete a double major,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ective institutional design for learner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ponses of 5,470 graduates from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llected in 2019) were extracted from the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ouble major completion was examined using Process macro V4.3 Model 1.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among major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ouble major completion. Second, the group that completed a double majo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both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e group that did no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resence of a double maj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dicating a stronger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double major group.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courage double major completion and establish administrative and academic support systems to enhance learners’ engagement and performance. Second, expanding interdisciplinary fusion education programs is recommended to maximize the synergy effect of double majors. Third,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satisfaction in the double major process should be sought. Fourth, a shift in the perception of double majors—from a mere “employment strategy” to an educational mechanism for intellectual growth—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희(Suhee Cho). (2025).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0), 826-843

MLA

조수희(Suhee Cho). "전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복수전공 이수 여부의 조절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0(2025): 826-8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