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교육을 선호하는 대학생은 어떤 특성을 가졌을까?

이용수  35

영문명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refer Online Edu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동심(Dongsim Kim) 김남희(Nam Hui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0호, 316~326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교육을 선호하는 대학생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대학의 온라인교육 운영에 필요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교육 선호도에 대한 잠재집단을 추정하고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학년, 전공 계열)과 개인적 특성(온라인교육 사전경험 유무, 멀티태스킹 행동, 디지털 리터러시)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의 A대학교 대학생 731명을 대상으로 전면 온라인교육이 실시된 2020학년도 1학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온라인교육 선호도 잠재집단을 확인한 결과 높은 선호도 집단(n=258), 중간 선호도 집단(n=315), 낮은 선호도 집단(n=158)으로 분류되었다. 4학년에 비해 1~2학년 학생들이 ‘높은 선호도 집단’ 보다 ‘낮은 선호도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멀티태스킹 행동이 높고 디지털 리터러시가 낮을 수록 ‘높은 선호도 집단’ 대비 ‘낮은 선호도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대학에서는 학년과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온라인교육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저학년 학습자들이 대학 생활에 적응한 후 온라인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교육 도입 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이고 멀티태스킹 행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학습 환경과 전략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refer online education and to provide ke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ies. To this end, latent classes of online education preference were identified, and factors influencing group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by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cademic year, major), personal characteristics (prior experience with online education, multitasking behavior and digital literacy) as predictor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31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2020 academic year, which was fully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Latent class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groups based on preference for online education: a high-preference group (n=258), a medium-preference group (n=315), and a low-preference group (n=158). Compared to fourth-year students,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ow-preference group than the high-preference group. Moreover, students with higher multitasking behavior and lower digital literacy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in the low-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high-preference group. Conclusions Universities need to consider students' academic yea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online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timing of introducing online education so that lower-year students can participate after adapting to university life. Additionally, learning environments and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students' digital literacy and minimize multitask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심(Dongsim Kim),김남희(Nam Hui Kim). (2025).온라인교육을 선호하는 대학생은 어떤 특성을 가졌을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0), 316-326

MLA

김동심(Dongsim Kim),김남희(Nam Hui Kim). "온라인교육을 선호하는 대학생은 어떤 특성을 가졌을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0(2025): 316-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