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ocial-Emotional Learning in Middle School Art Education: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지원(Ji Won Kwon) 신태섭(Tae Seob Sh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647~6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교사들이 미술교과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3명이며, 각 참여자와는 1인당 90분씩 총 3회에 걸쳐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 중 2명은 대면 면담, 1명은 비대면 온라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면담 외에도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한 서면 응답을 1회씩 추가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술교과가 학생의 자기 인식, 감정 조절, 관계 형성 등 사회정서역량 함양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업시수 부족과 제도적 지원의 한계는 실천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교과에서 사회정서학습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 시수를 확보하고, 학교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연수와 실천 사례의 공유도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중학생들의 발달 특성을 고려할 때, 이들에게 적합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와 가정, 전문가가 연계된 협력적 지원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가 학생의 정서 발달과 사회적 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로서, 사회정서학습의 교육적 실천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depth how middle school art teachers implement SEL in art education, an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is practice.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art teach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A total of thre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hree times, with each session lasting approximately 90 minutes. Among them, two teachers were interviewed face-to-face, while one participated in an online video interview. In addition to the interviews,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one written response via emai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is study explored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SEL in art education. The findings confirmed the potential of art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such as self-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and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t was also found that a lack of instructional time and in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 posed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EL.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seen that effectively implementing SEL in art education requires a restructuring of the curriculum to secure sufficient instructional time, along with tailored support that reflects the specific contexts of individual schools. In addition, systematic teacher training and the sharing of practical teaching cases emerged as important need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ularly those experiencing emotional instability, there is also a need to develop SEL programs appropriate to their stage of growth an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support system involving schools, families, and professionals.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education, as a subject that can meaningfully support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ies, holds educational potential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지원(Ji Won Kwon),신태섭(Tae Seob Shin). (2025).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647-662

MLA

권지원(Ji Won Kwon),신태섭(Tae Seob Shin).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647-6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