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for Mathematics Achievement in Korea, Macau, and Singapore: PISA 2022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수진(Sujin Hw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585~60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머신러닝 기법 중 랜덤포레스트를 활용하여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를 예측하고, 국가별 주요 예측요인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통적인 통계 분석 기법이 다수의 변수를 투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머신러닝 기법들 중 랜덤 포레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싱가포르·마카오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국가별 주요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22 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0개의 유의측정값(Plausible Values, PVs)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학생 개인, 가정 환경, 학교 특성, ICT 활용 등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된 변수의 수는 총 247개였다. 결과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세 국가 모두에서 수학적 자기효능감(Mathematics Self-Efficacy)이 수학 학업성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규 수업 시간(Total Number of Class Periods per Week)이 주요 예측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일반적으로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부모의 직업 및 교육 수준과 같은 가정환경 변수보다도 정규 수업 시간이 상위 예측 변수로 나타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와 더불어, ‘Frequency of ICT Activity’도 주요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Frequency of ICT activity’와 ‘Use of ICT in enquiry-based learning activities’가 한국의 주요 예측변수로 포함된 점은 ICT 활용이 학업 성취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 저하 문제를 인식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싱가포르·마카오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를 예측하고 국가별 주요 예측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가 간 교육 격차 해소 및 미래 교육 정책 수립에 의미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Despite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Korea's education system, the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of Korean students has been gradually declining compared to that of Singapore and Macau (OECD, 202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between Korea, Singapore, and Macau in order to address this phenomenon. Methods Since traditional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ace limitations in incorporating a large number of variables, this study employed Random Forest analysis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mathematics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 Korea, Macau, and Singapore. The study utilized student data from PISA 2022, setting ten plausible values (PVs)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measure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various factors potentially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a total of 247 variab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thematics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all three countries. Additionally, Total Number of Class Periods per Week emerged as a key predictive factor. Furthermore, Frequency of ICT Activity was also identifi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Specifically, “Frequency of ICT Activity” and “Use of ICT in Enquiry-Based Learn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Korea,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ICT usage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utiliz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s achievement in PISA 2022 among Korea, Singapore, and Macau. It identifies key predictive fa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roposes policy directions to mitigate Korea’s declining mathematics performance. The findings contribute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customized education system to improve Korea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but also serve as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addressing educational disparities across countries and shaping future education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수진(Sujin Hwang). (2025).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585-600

MLA

황수진(Sujin Hwang).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585-6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