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07

영문명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숙(Jung Sook Lee) 김희수(Hee Sue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513~52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이성관계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전국의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30.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자아분화, 이성관계만족도,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아분화와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이성관계만족도 증진을 위해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고 정서인식명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생의 이성관계를 도울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in this process. The findings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15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30.0,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was examined using the Process Macro 4.2 program.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fferentiati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revealed that all variables exhibi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dicated that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supporting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s by exploring ways to enhance self-differentiation and improve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to increase thei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숙(Jung Sook Lee),김희수(Hee Sue Kim). (2025).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513-523

MLA

이정숙(Jung Sook Lee),김희수(Hee Sue Kim).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513-5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