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care and Healing Experiences of Female Care Workers in Shelters for Abused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본(Bon Jeong) 이덕선(Deok Seo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277~29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대피해아동쉼터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이 아동을 양육하고 돌보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치유의 의미와 본질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학대피해아동쉼터에서 근무했거나 현재 근무중인 여성생활지도원 4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부터 8월까지 2차례에 걸쳐 반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는 생활지도원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5개의 상위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상위 구성요소는 ‘얼떨결에 마주한 회복의 쉼터’, ‘서서히 드러나는 아픔의 현장’, ‘서서히 움트는 사랑의 싹’, ‘ 어린 영혼을 위한 몸부림과 작고 아름다운 결실들’, ‘격무를 견디게 하는 보람과 사명감’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대피해아동쉼터 생활지도원의 치유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여, 쉼터에서의 양육과 돌봄을 통해 아동들이 상처가 치유받고 건강한 일상으로 회복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지도원들이 학대피해아동을 돌보는 과정에서 치유의 의미와 가치, 보람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사회복지 실천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healing experiences among residential care workers who nurture and care for children in shelters for abused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twice between January and August 2024 with four residential care workers who have worked or are currently working in shelters for abused children. Semi-structured questions were employed,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o focus on the workers' experienc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five main components and twenty subcomponents. The main components included: “Unintentionally Encountering a Place of Healing”, “Gradual Exposure to Painful Realities”, “The Gradual Sprouting of Love”, “Struggles and Small but Beautiful Fruits for Young Souls” and “The Fulfillment and Sense of Mission Sustaining Heavy Workloads”.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ce of healing experiences among residential care workers in shelters, shedding light on the process through which abused children heal and recover to lead healthy daily liv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value, and fulfillment of the healing process in caregiving and serve as a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본(Bon Jeong),이덕선(Deok Seon Lee). (2025).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277-291

MLA

정본(Bon Jeong),이덕선(Deok Seon Lee).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277-2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