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공심화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향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Practice Among Advanced-Level Pre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진화 민가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2호, 147~16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공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유아교사 27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교과목 수강 이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의미와 실천 방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브레인스토밍, 토론 활동, 수업계획안, 반성적 저널을 자료로 수집하였으며,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교육은 특정 상황에만 적용되는 교육이 아니라 모든 유아의 태도와 인식 형성에 필수적인 교육이라는 점에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은 유아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놀이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이해가 형성되었다. 셋째,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해 교실을 넘어 가정, 지역사회, 국가 정책과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심화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질적 향상과 실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hanged among 27 preschool teachers enrolled in an advanced teacher training program after completing a 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further sought to clarify the perceived meaning and practical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brainstorming activities, group discussions, lesson plans, and reflective journals and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alidation procedu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participants view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relevant only in specific cases, but their understanding evolved to see it as essential for shaping the attitudes and awareness of all children. Second, the teachers developed a sens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through play-based learning, allowing children to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in their daily lives naturally. Third, there was a deepen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onne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beyond the classroom to families, local communities, and national policy. By highlight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전공심화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