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이용수  0

영문명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Expectations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And Their Experiences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수정(SuJeo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619~64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을 분석하여 첫 임상실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임상실습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2024년 1학기에 첫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 학생 총 92명이다. 연구 자료는 첫 임상실습 전의 사례 166개로 실습 전의 진술과 실습 기대 소감 등이며, 첫 임상실습 후의 사례 453개는 실습 평가와 실습 소감 등이다. 연구 방법은 Elo와 Kyngäs(2008)의 질적 내용 분석의 연역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내용 분석을 위한 범주는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과 동일한 내용, 방법, 계열, 사회화 등의 4개 영역과 이에 속하는 소 영역 등으로 구성하였다. 내용 영역은 ‘지식과 중재’, ‘상호작용 관찰 및 수행’, ‘검사 관찰 및 수행’, ‘임상 환경’ 등이며, ‘지식과 중재’를 가장 많이 학습하였다. 방법 영역은 ‘학습 과정’, ‘메타인지 과정’, ‘적용과정’ 등이며, ‘학습 과정’은 인지적 도제 학습의 교수학습 방법인 모델링, 코칭, 스캐폴딩을 포함한다. 간호 학생은 대부분 ‘학습 과정’으로 실습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열 영역은 ‘복잡성 다양성 증가’와 ‘전체 제시 후 부분 제시’ 등이며, 사회화 영역은 ‘상황 학습’, ‘전문가 수행’, ‘동기유발’, ‘협동과 경쟁의식 활용’ 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첫 임상실습 전후의 비교에서 간호 학생은 첫 임상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제의 융합이 나타났으며, 임상간호사의 학습전략 필요성과 간호 학생의 전문직 간호사로의 사회화 진입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메타인지를 성장시키는 실습 교육을 위해서 동료 상호작용이 강조되는 학습 방법 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ctations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fter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It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first clinical practice. Methods This study subjects were 92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4. The study data are 166 cases before the first clinical practice and 453 cases after the first clinical practice. Research materials include statements before the first clinical practice and reflections on expectations for the practice, and evaluations and reflections after the first clinical practi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eductive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y Elo and Kyngäs(2008). Results The categories for content analysis consisted of four domains, including content, method, sequence, and sociology, which are identical to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The content domains are ‘knowledge and interventions’,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f interactions’,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f tests’, and ‘clinical environment’.The method domains are ‘learning process’, ‘meta-cognitive process’, and ‘application process’. ‘Learning process’ includes modeling, coaching, and scaffolding, which ar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ognitive apprenticeship learning, and it was analyzed that most nursing students practiced ‘learning process’. The sequence domains are ‘increasing complexity and diversity’ and ‘global presentation before local skills’. The sociology domains are analyzed as ‘Situated learning’, ‘expert practice ‘intrinsic motivations’, and ‘exploiting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Conclusions In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irst clinical practice, the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ppeared in nursing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the necessity of learning strategies for clinical nurses and nursing students began to enter socialization as professionals. In the future, learning methods that emphasize peer intera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develop practical education that fosters meta-cogni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정(SuJeong Lee). (2025).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619-646

MLA

이수정(SuJeong Lee).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619-6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