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로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5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NSSI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형준(Hyeong-Jun Ahn) 장석진(Seok-Jin Ch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921~9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예방과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단절 및 거절 도식,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였다.
방법 자살의도가 없고 최근 자해 경험이 1년 이내에 있는 전국의 19-29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 도식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비자살적 자해 척도, 마음챙김 척도, 자비자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154명의 응답 가운데 최종 454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정서조절곤란을 거쳐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은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자비의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모두 높은 경우 비자살적 자해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를 개선하기 위해 마음챙김-자기자비 증진이라는 교육상담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음챙김이 익숙하지 않은 대학생에게 자비자비 개입은 비자살적 자해를 악화시킬 여지가 있으므로 마음챙김 수준을 고려한 차별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foundational basis for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mong university students by examining i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nd NSSI.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Scale,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NSSI Scale, the Mindfulness Scale, and the Self-Compassion Scal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university students aged 19 to 29 from across the country who had engaged in self-harm within the past year but did not exhibit suicidal intent. A total of 2,154 responses were collected, of which 454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the moderated-moderated mediation effect.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n NSSI, mediated by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was moderated by levels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Specificall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 Furthermore, when both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were high, the likelihood of engaging in NSSI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called “Mindfulness- Self-Compassion Promotion” to address NSSI among college students. However, as compassion-focused interventions may potentially exacerbate NSSI in individuals with low familiarity with mindfulness, th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tailored interventions based on mindfulness levels. Finally, the study acknowledges its limitations and offer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 동양고전에 나타난 ‘스승’의 권위가 현대사회 교권 담론에 주는 함의
- 보육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 성인 학습자(대학생)의 학습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특성 유형, 동기, 저해 요인 및 성과 인식의 역할 분석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로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 ChatGPT를 활용한 과학 모델링 수업: 교육적 가능성 탐색
-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이 직장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한국-나이지리아 시범학교(Nigeria-Korea Model School) 교사의 연수 참여 여부에 따른 ICT 역량 비교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분석: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간호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성장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의 자녀 양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체육공간 구성 방안에 관한 FGI 분석 연구: 서울시 스마트건강관리교실 중심으로
- 어린이집 보육실습 지도교사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과 강박열정의 조절된 매개효과
- 디지털 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초등교사 관점에서 본 모든 학습자를 위한 수학과 AIDT 활용 방안
- 융합적 국악교육을 위한 판소리 서사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캐릭터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가톨릭 청년의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한 음악치료 실험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 독일 특수교육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발전양상과 방향
-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위험감수놀이 허용의 매개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의 관계: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생 예술역량 모델 개발
- 유아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 대학교수의 고용서비스 연계 취업교과목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을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성인애착유형별 SNS 중독경향성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Academic Burnout in the Context of Extracurricular Piano Learning in China: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성인 체질량지수에 따른 치주건강상태, 혈압, 스트레스 관련성
- 지적장애 학생 과학교과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방법 탐색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arental Educational Anxiety in the Context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n China
- 프로젝트학습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실 모습과 수업 실행 양상 분석
-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한 아동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관한 성차 연구
-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