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and Directions of the 'Classical Prose' Section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2002-2025)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성윤(Seong Yoon Ch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475~49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2025학년도까지의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1차)에서 ‘고전 산문’ 영역이 어떻게 출제되었는지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먼저,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된 고전 산문 작품에 대한 경향성은 어떠한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문에 제시된 작품의 갈래, 주제별 작품군, 출제 빈도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고전 산문 영역의 평가 문항은 적절했는가?’를 해결하기 위해 Anderson & Krathwohl(2001)의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문항의 인지 과정 및 지식의 결합 양상과 각각에 해당하는 문항 유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부족한 점들을 종합하여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고전 산문 영역의 출제 방향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결과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에 출제된 고전 산문 지문의 ‘갈래’를 분석한 결과, 소설이 5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주제별 작품군’으로는 애정 소설과 영웅·군담 소설이 주로 출제되었으며, 기출된 작품들이 다시 출제되는 경향도 확인하였다. 한편, 고전 산문 영역의 문항을 Anderson & Krathwohl(2001)의 신교육목표분류학 체계에 기반하여 분석했는데, 인지 과정 차원과 지식 차원의 결합 방식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그중에서도 ‘이해하다’와 ‘개념적 지식’의 결합이 가장 빈번하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평가 문항 유형의 하위 유형들은 해당 영역 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였고, 비교적 적절하게 출제된 모습이었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고전 산문 임용시험 출제에서 보완할 지점을 3가지 측면에서 제안해 보았다. 첫째, 다양한 갈래 및 작품군을 출제할 필요가 있다. 소설 위주로만 출제되던 경향에서 벗어나 교술 산문 및 극 갈래뿐 아니라, 갈래 및 작품군의 복합 지문으로 구성한 문항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인지 과정 및 지식 차원을 반영한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최대한 명확한 답안을 설정할 수 있으면서도 좀 더 고차원적이고 실제적인 교수 역량을 평가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교사들이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고전문학(사) 관련 기본 이론과 지식에 대한 내용도 일정 부분 출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고전의 본질’에 좀 더 집중한 출제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lassical Prose' section has been presented in the first-round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 from the 2002 to 2025 academic years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First,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trends in classical prose works presented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enre, thematic categories, and frequency of the classical prose works included in the exam passages. Second,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 “Have the evaluation items in the classical prose s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 been appropriate?”, the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dimensions in the exam questions were analyzed based on Anderson & Krathwohl's (2001) classification system. The combination of these dimensions and the specific question types were examined in detail. Last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analyses, the study sought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How should the classical prose section be structured in future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s?” by identifying areas for improvement. Results An analysis of the genres of classical prose passages in the Korean Languag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 (2002-2025) revealed that novels accounted for over 50%, making them the most frequently featured genre. In terms of thematic categories, romance novels and heroic/military tales were the most commonly included works. Additionally, certain previously featured works were reappearing.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exam questions based on Anderson & Krathwohl’s (2001)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dimensions was relatively limited. The most frequently tested combination was “Understanding” and “Conceptual Knowledge”. Within each evaluation category, the subtypes of question formats exhibited diverse patterns and were generally appropriate in their appl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ree key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classical prose section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 were proposed: First, a greater diversity of genres and thematic categories should be included. The current dominance of novels should be reduced by incorporating didactic prose and dramatic works, as well as questions featuring passages that combine multiple genres and thematic elements. Second, exam questions should reflect a wider range of cognitive processes and knowledge dimensions. While ensuring that clear and definitive answers can be established, the questions should also be designed to asses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an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ies. Third, a portion of the exam should focus on fundamental theories and knowledge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and literary history, which are essential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exam content that aligns more closely with the core nature of classical literature.

목차

Ⅰ. 서론
Ⅱ. 고전 산문 영역의 출제 분석
Ⅲ. 고전 산문 영역 출제의 방향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윤(Seong Yoon Cho). (2025).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475-491

MLA

조성윤(Seong Yoon Cho).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475-4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