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Metaverse-Integrated Curriculum Linked to Non-Curricular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혜영(Hyeyoung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을 통해 메타버스를 적용한 교과목이 메타버스에 대한 희생, 혜택, 가치 및 디지털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청권역 A대학교 유아교육과 예비 유아교사 중 메타버스를 적용한 K-Project 교과목 수강생인 8명(실험집단)과 비교집단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3.0을 활용하여 비모수 통계방법 중 맨-휘트니 U 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별 기술통계치 분석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의 경우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과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감소되었고,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과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증가되었다. 비교집단은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과 하위요인에서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증가 된 반면,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혜택과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과 일부 하위요인은 사전 평균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감소되어 메타버스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전 평균점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보면,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희생 전체와 하위요인인 콘텐츠 품질, 기술적 노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검증된 것이다. 반면, 혁신 저항은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효과성이 나타나지 않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혜택 전체와 하위요인(유용성, 정보 접근의 편의성, 사회적 정체성), 메타버스에 대한 지각된 가치, 디지털 학습역량 전체와 하위요인(의사소통, 협업, 비판적 사고, 창의성, 정보, 문제해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차이검증을 보면, 모든 연구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사후 차이검증 결과, 모든 연구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교과목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들의 디지털 학습역량 강화와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메타버스와 같은 혁신적 디지털 학습 도구의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taverse-applied courses supported by non-curricular programs on perceived sacrifices, benefits, the value of the metavers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the Chungcheong region. Among them, 8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K-Project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maining 9 pre-service teachers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Using SPSS 23.0,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both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begi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measured variables. The experimental group's post-test mean score for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was lower than its pre-test mean score. Conversely, the post-test mean scores for perceived benefits, valu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related to the metaverse, along with their sub-facto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In the control group, the post-test mean score for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 In contrast, the post-test mean scores for perceived benefits, value,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y, along with some sub-factor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test mean scores, indicating that positive effectiveness related to the metaverse was not found. The analysis of pre-test mean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firming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hat the overall perceived sacrifice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such as content quality and technical eff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In contrast,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sistance to innovation suggest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was not demonstrated. The overall perceived benefits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its sub-factors (usefulness, ease of access to information, social identity), the perceived value of the metaverse, and the overall digital learning competency along with its sub-factor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id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The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post-tes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research variable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that applies the metaver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 utilizing the metaverse through the suppor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can positively impact learners' digital learning competencies and promote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This provides important evidence for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innovative digital learning tools, such as the metavers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에 나타난 ‘스승’의 권위가 현대사회 교권 담론에 주는 함의
- 보육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이 직장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가톨릭 청년의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 ChatGPT를 활용한 과학 모델링 수업: 교육적 가능성 탐색
- 한국-나이지리아 시범학교(Nigeria-Korea Model School) 교사의 연수 참여 여부에 따른 ICT 역량 비교
-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한 음악치료 실험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 성장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의 자녀 양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분석: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교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체질량지수에 따른 치주건강상태, 혈압, 스트레스 관련성
-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체육공간 구성 방안에 관한 FGI 분석 연구: 서울시 스마트건강관리교실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의 관계: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지적장애 학생 과학교과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방법 탐색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arental Educational Anxiety in the Context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n China
-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생 예술역량 모델 개발
- 어린이집 보육실습 지도교사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교수의 고용서비스 연계 취업교과목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을 중심으로
-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 유아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 프로젝트학습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실 모습과 수업 실행 양상 분석
- 성인 학습자(대학생)의 학습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특성 유형, 동기, 저해 요인 및 성과 인식의 역할 분석
- 융합적 국악교육을 위한 판소리 서사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캐릭터 연구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과 강박열정의 조절된 매개효과
- 디지털 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초등교사 관점에서 본 모든 학습자를 위한 수학과 AIDT 활용 방안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Academic Burnout in the Context of Extracurricular Piano Learning in China: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한 아동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관한 성차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독일 특수교육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발전양상과 방향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로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위험감수놀이 허용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인애착유형별 SNS 중독경향성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