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이용수  0

영문명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Play Materials Using Tinkercad 3D Model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효인(Hyoin You) 문가영(Gayeong M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947~9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양성과정에서 틴커캐드 활용 가능성과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증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C대학의 유아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3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틴커캐드 3D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을 하도록 하였다. 교과목을 수강한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포트폴리오와 반성적 저널, 모의수업 자기평가서, 연구자의 연구노트를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는 첫째, 틴커캐드 학습 과정 경험의 의미, 둘째, 놀이자료 3D모델링 과정 경험의 의미, 셋째, 놀이자료 제작 과정 경험의 의미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함양하고 학습 동기를 증진하며 창의적 사고를 경험하게 하는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양성과정에 틴커캐드를 접목하여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inkercad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ays to enhance the digital cap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developing play materials using Tinkercad 3D modeling. Methods Thirty-seven students taking the course on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give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play materials using Tinkercad 3D model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ortfolios, reflective journals, mock class self-evaluations, and the researcher's research not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ook the course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play materials using Tinkercad 3D modeling is as follows.First, the meaning of the Tinkercad learning process experience, Seco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3D modeling process for play materials, Thir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lay material production process. Conclusions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play materials using Tinkercad 3D modeling was meaningful in cultivating the digital cap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sing their motivation to learn, and allowing them to experience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rriculum to develop digital capabilities by incorporating Tinkercad in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apply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효인(Hyoin You),문가영(Gayeong Mun). (2025).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947-964

MLA

유효인(Hyoin You),문가영(Gayeong Mun).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947-9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