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Youth Workers Six Area of Worklife and Resilience on Their Burnou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미연(Mi Yeon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227~2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여섯 가지 영역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청소년수련시설에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사 209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소진,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를 사용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사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여섯 가지 영역(업무량, 통제, 보상, 커뮤니티, 공정성, 가치,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여섯 가지와 소진 간의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과 소진 간의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여섯 가지 영역과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 여섯 가지 영역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의 여섯 가지 영역인 업무량, 통제, 보상, 커뮤니티, 공정성, 가치가 모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의 회복탄력성이 소진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지도사의 소진 예방을 위해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특성이 반영된 회복탄력성 증진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ix area of worklife and resilience on burnout among youth worke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23 to measure burnout, personal work environment fit, and resilience among 209 youth leaders working in a youth retreat cen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WIN 25.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ix area of worklife(workload, control, reward, community, fairness, value) and resilience and burnout, and foun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domains of job fit and burnout. We also fou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the six area of worklife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 among youth worker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six area of worklife and resilience significantly impacted burnout among youth workers. This means that all six area of worklife-workload, control, reward, community, fairness, value are contributing factors to burnout. This suggests that resil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burnout. Therefore, we would like to explore ways to promote resilience that reflects individual job suitability and characteristics to prevent youth leaders' burnout, and propose ways to develop related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에 나타난 ‘스승’의 권위가 현대사회 교권 담론에 주는 함의
- 보육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이 직장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가톨릭 청년의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 ChatGPT를 활용한 과학 모델링 수업: 교육적 가능성 탐색
- 한국-나이지리아 시범학교(Nigeria-Korea Model School) 교사의 연수 참여 여부에 따른 ICT 역량 비교
-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한 음악치료 실험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 성장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의 자녀 양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분석: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교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체질량지수에 따른 치주건강상태, 혈압, 스트레스 관련성
-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체육공간 구성 방안에 관한 FGI 분석 연구: 서울시 스마트건강관리교실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의 관계: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지적장애 학생 과학교과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방법 탐색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arental Educational Anxiety in the Context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n China
-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생 예술역량 모델 개발
- 어린이집 보육실습 지도교사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교수의 고용서비스 연계 취업교과목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을 중심으로
-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 유아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 프로젝트학습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실 모습과 수업 실행 양상 분석
- 성인 학습자(대학생)의 학습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특성 유형, 동기, 저해 요인 및 성과 인식의 역할 분석
- 융합적 국악교육을 위한 판소리 서사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캐릭터 연구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과 강박열정의 조절된 매개효과
- 디지털 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초등교사 관점에서 본 모든 학습자를 위한 수학과 AIDT 활용 방안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Academic Burnout in the Context of Extracurricular Piano Learning in China: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한 아동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관한 성차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독일 특수교육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발전양상과 방향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로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위험감수놀이 허용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인애착유형별 SNS 중독경향성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