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 Methodological Analysis of Type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승민(Seung Min 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385~4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문헌분석과 심층면접을 통해 총 108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협의 및 토의를 통해 2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경기도 B대학 사회복지학과 학생 46명의 P표본에게 2024년 9월부터 10월까지 Q분류를 하도록 하였고 이를 QUANL-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경기도 대학생의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인식 유형은 3가지로 추출되었다. 유형1은 ‘사회 혁신적제도 인식형’으로 청년기본소득을 통해 청년의 기본권과 최소한의 삶이 지켜지고 안정적인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유형2은 ‘상황적 보편주의형’으로 지역 간 차별과 불평을 야기하고 미래세대의 부담을 가증시키는 청년기본소득 보다 빈곤층 청년들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3은 ‘실리추구형’으로 취업난과 경제적 불안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청년에게 최소한의 복지를 제공해야 하는 정부의 책임 있는 대안으로서 청년기본소득의 중요성은 인지하나 이로 인해 노동의욕 감소, 늦어지는 노동시장으로의 진입, 세금 증가 등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통해 최소한의 삶을 지키기 위해 도입된 청년기본소득의 의의와 중요성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oward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Methods The P sample consisted of 46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Using Q methodology , these students classified 23 Q sample statement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4. Results Analyzing the scores from the 23 statements using Q factor analysis through QUANL-PC program,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showing positives of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b) showing disapproval of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and focusing on selective welfare, (c) showing approval of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but focusing on utility function. Conclusions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youth basic income in Gyeonggi Province and related systems need to be analyzed and readju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t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승민(Seung Min Oh). (2025).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385-407

MLA

오승민(Seung Min Oh).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385-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