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hatGPT를 활용한 과학 모델링 수업: 교육적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Science modeling lessons using ChatGPT: Exploring educational possi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향정(Hyang Jung Jo) 유선아(Sun A R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117~13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모형 탐구 수업에서 인공지능 챗봇인 ChatGPT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며 인공지능이 교육 환경에서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효과가 학생들의 핵심역량 향상에 대한 태도와 개념 형성에 도움이 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기반으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의 학습 목표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평가 방식이 긴밀히 연계되는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관점에서 설계 및 실행되었다. 우선, 모형 탐구 활동에 적합한 연구 주제를 선정한 후, CoRe를 분석하고 프롬프트를 탐구하였다. 프롬프트 결과를 바탕으로 ChatGPT 4를 활용해 문항을 제작한 후 제작된 문항은 전문가 집단의 도움을 받아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 과정에서 모형 탐구 활동 단계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미리 프롬프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 중 프롬프트 안내지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모형 탐구 활동은 세포분열, 기체 운동, 상태변화를 주제로 진행되었고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시간의 정규 수업과 1시간의 방과 후 시간에 진행되었다. 활동 전·후 학생들은 ‘핵심역량 태도 진단’ 설문에 참여하였고 사후 설문은 모형 탐구 & ChatGPT 4 활동 관련 설문이 추가되었다. 마지막 평가와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모형 탐구 수업에 ChatGPT 4의 활용 가능성, 평가 문항 제작 가능성을 보았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태도 변화와 개념 형성에 어느 정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에 ChatGPT 4가 일정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이 교육환경에 통합하기 위해서 프롬프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ChatGPT의 활용은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에게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ChatGPT,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in model nquiry lessons,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integrated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pecially, this study analyzed was whether its effects helped form students' attitudes about enhancing core competencies and formation concepts.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class-assessment integration. In this approach, lessons were structured based on the curriculum's goals and content, with evaluation methods closely aligned to help students effectively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of the lesson. First, after selecting a research topic suitable for model inquiry activities, CoRe was analyzed and prompts were explored. Based on the prompt results, questions were created using ChatGPT 4,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s was verified with the help of a group of experts. In this process, we analyzed the prompts in advance so that students could reach their own learning goals during the model inquiry activity stage, and based on this, we created a prompt guide during lesson. This model inquiry activity was conducted on the topics of cell division, gas movement, and state changes, and activities were carried out for 4 hours of regular class and 1 hour of after-school time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Through this study, it was educational potential to design lessons and create evaluation questions using ChatGPT 4, which was positive to some extent in chang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core competencies and was help the concept formation. This shows that ChatGPT 4 can play a role in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lesson-evaluation.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research on prompts is needed to integrate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use of ChatGPT has shown the potential to play an appropriate role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 예비 유아교사 대상 비교과를 연계한 메타버스 적용 교과목의 효과성 연구
-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국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2002-2025) ‘고전 산문’ 영역의 분석 및 방향
- 인지적 도제 학습관점에서 간호 학생의 첫 임상실습 전의 기대와 첫 임상실습 후의 경험에 대한 이해
-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사회정서학습 실천에 관한 질적연구: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에 나타난 ‘스승’의 권위가 현대사회 교권 담론에 주는 함의
- 보육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틴커캐드 3D 모델링을 활용한 놀이자료 개발 경험의 의미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이 직장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 가톨릭 청년의 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정성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
- 남성 노숙인의 탈노숙을 위한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 ChatGPT를 활용한 과학 모델링 수업: 교육적 가능성 탐색
- 한국-나이지리아 시범학교(Nigeria-Korea Model School) 교사의 연수 참여 여부에 따른 ICT 역량 비교
- 청소년지도사의 개인 직무환경 적합성과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 대한 메타경로분석: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변인으로 한 음악치료 실험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 성장기 가정폭력을 경험한 엄마의 자녀 양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분석: 미술치료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학대피해아동쉼터 여성생활지도원의 보육 및 치유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고등학교에서의 에듀테크 활용 실태 및 요구 분석
-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체질량지수에 따른 치주건강상태, 혈압, 스트레스 관련성
- Q방법론을 활용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대학생의 인식유형 연구
-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체육공간 구성 방안에 관한 FGI 분석 연구: 서울시 스마트건강관리교실 중심으로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 대면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과 화상상담에서의 치료적 실재감의 관계: 화상 실재감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지적장애 학생 과학교과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방법 탐색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Parental Educational Anxiety in the Context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in China
-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생 예술역량 모델 개발
- 어린이집 보육실습 지도교사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 대학교수의 고용서비스 연계 취업교과목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학교수의 진로지도 역량을 중심으로
- PISA 2022 한국·싱가포르·마카오의 수학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비교
- 유아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바탕으로
- 프로젝트학습 기반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실 모습과 수업 실행 양상 분석
- 성인 학습자(대학생)의 학습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특성 유형, 동기, 저해 요인 및 성과 인식의 역할 분석
- 융합적 국악교육을 위한 판소리 서사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캐릭터 연구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과 강박열정의 조절된 매개효과
- 디지털 교육에 전문성이 있는 초등교사 관점에서 본 모든 학습자를 위한 수학과 AIDT 활용 방안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Academic Burnout in the Context of Extracurricular Piano Learning in China: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 생태체계적 접근을 통한 아동의 공동체의식 영향요인에 관한 성차 연구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독일 특수교육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 발전양상과 방향
-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마음챙김과 자기자비로 조절된-조절된 매개효과
-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위험감수놀이 허용의 매개효과
- 예비교사의 성인애착유형별 SNS 중독경향성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