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0

영문명
An Autoethnographic Study on a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f Reading Self-help Book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현주영(Jooyung Hyun) 손은령(Eun Young S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311~3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을 탐구함으로써, 대학원생의 자기돌봄 전략을 제안하고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독서 일기, 경험보고서, 발표 자료, 구성원과의 대화 기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수집된 자료는 성찰, 이해, 해체, 재구성 과정을 거쳐 독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고, 자기 돌봄의 주요 패턴을 도출하여 해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자조도서 읽기 경험으로 ‘양립의 환상에서 벗어나기’와 ‘Ms. Should를 떠나보내고 주체성 확립하기’, ‘지지적 대인관계 생성하기’가 나타났다. 결론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활동은 단순한 독서 행위를 넘어, 대학원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심리적 회복과 성장을 돕는 자기돌봄의 실천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 양육과 학업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를 직시하고, 보다 현실적이고 적응적인 태도를 수용하는 과정을 촉진하였다. 둘째, 삶 속에서 불필요하게 내면화된 당위적 규칙과 자기 기대를 내려놓고, 보다 주체적이고 유연한 삶을 살아가려는 노력을 이끌어냈다. 셋째,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원 생활이라는 특수한 맥락 속에서 지지적 대인관계망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대학원생의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다양한 자기돌봄 방식에 자조도서 읽기 활동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철학적·사회적·심리적 차원에서의 실천적 방안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graduate student's experience of reading self-help books, propose self-care strategies, and identify measures to enhance their mental well-being. Methods To achieve this, an auto-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applied. Data collection involved various sources, including reading journals, experience reports, presentation materials, and records of conversations with peer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through processes of reflection, interpretation,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reading experience and identify key patterns of self-care. Result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reading self-help books revealed three key themes: “Breaking free from the illusion of balance,” “Letting go of 'Ms. Should' and reclaiming self-agency,” and “Building suppor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clusions Self-help book reading activities among graduate students can serve as a practical tool for self-care, extending beyond mere reading to help manage the stress associated with graduate student life, promote psychological recovery, and support personal grow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regarding the self-help book reading experience. First, the process facilitated recognition of the inherent limitations of individual efforts to balance parenting and academic responsibilities. It also fostered acceptance of more realistic and adaptive attitudes.Second, it encouraged efforts to let go of unnecessarily internalized prescriptive rules and self-imposed expectations, thereby promoting a more autonomous and flexible approach to life. Third, i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pportive interpersonal networks within the unique context of graduate student life, grounded in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incorporate self-help book reading activities into diverse self-care strategies designed to support graduate students' mental health. To that end, it also proposes practical strategies at the philosoph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level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주영(Jooyung Hyun),손은령(Eun Young Son). (2025).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311-326

MLA

현주영(Jooyung Hyun),손은령(Eun Young Son). "한 대학원생의 자조도서 읽기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311-3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