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이용수  0

영문명
Attitudes toward and intention to use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among therapis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은하(Eunha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159~17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VRET)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 상담자 32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먼저, 성별, 연령, 근무 소재지, 주요 이론적 배경에 따라 VRET에 대해 지각하는 장단점, VRET 유용성, VRET 사용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VRET에 대한 사전지식, 지각된 VRET 장점, 지각된 VRET 단점, VRET 유용성, VRET 사용 의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먼저, 상담 현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병원에 근무하는 상담자들이 다른 상담 현장에 근무하는 상담자들보다 지각된 VRET 장점, VRET 유용성, VRET 사용 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VRET에 대한 사전지식이 지각된 VRET 장점과 지각된 VRET 단점에 각각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VRET 장점과 지각된 VRET 단점이 VRET 유용성을 매개로 VRET 사용 의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들이 지각하는 VRET의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rapists’ attitudes towards 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 (VRET). Method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323 therapists in South Korea. First, we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iv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RET, its usefulness, and intentions to use VRET in terms of gender, age, therapy setting, and main theoretical orient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ior knowledge of VRET, perceiv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RET, its usefulness, and intentions to use VRET based on an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solely based on the therapy setting. Specifically, therapists employed in hospital settings exhibited higher scores on perceived advantages, usefulness, and intentions to use compared to therapists in other settings. The analysis also indicated tat prior knowledge of VRET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advantages and negatively affected perceived disadvantages of VRET. Additionally, perceiv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RET were associated with intentions to use VRE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Conclusions By identifying therapist’s perceive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하(Eunha Kim). (2025).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159-173

MLA

김은하(Eunha Kim). "가상현실 노출치료(Virtual reality exposure therapy)에 대한 상담자들의 태도와 사용 의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159-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