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177

영문명
The Impa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elf-Compass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지인(JiIn Jeon) 장석진(SeokJin Ch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369~38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문제에 적합하고 표준화된 4개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제작했고, S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4학년 남녀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7부를 제외하고 총 263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자기자비, 대인관계문제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과 자기자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에 초점을 맞추어 대인관계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실제 상담 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여 내담자에게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에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o verify this,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four measurement tools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questions was develope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first to fourth year at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S area. After excluding 37 responses due to insincere answers, data from a total of 263 participant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anxiety, self-compa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social anxiety and self-compassion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rejection sensitivity indirectly influenc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of social anxiety and self-compass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alleviating such issues by focusing on social anxiety and self-compassion. The goal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exploring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in counseling settings to support clients experiencing interpersonal difficulties.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its limit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지인(JiIn Jeon),장석진(SeokJin Chang). (2025).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369-383

MLA

전지인(JiIn Jeon),장석진(SeokJin Chang).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369-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