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Career Resilience Education’ Linked to Subjects: Focusing on ‘Present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정오(Jung O Ryu)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191~20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발표하기’ 중심으로,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을 실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초등학생의 진로 특성, 교육과정에 반영된 진로탄력성 관련 내용, 진로탄력성의 개념과 요소, 백워드 설계 모형의 특징과 절차, 발표하기의 개념과 절차 등의 내용을 살피며 이론적 배경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연구 기간 및 연구 집단 구성, 측정 도구 선정, ADDIE 모형에 근거한 연구 절차 수립, 연구 효과성 검증 계획 수립 후 백워드 단원 설계의 3단계 절차를 적용하여 본 연구 프로젝트 단원 설계 후 실행하였다. 결과 독립표본 t 검정을 활용하여 연구 집단에 대한 ‘진로탄력성’ 사전-사후 측정 결과, 전체 하위 요소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진로탄력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공변량 분석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순수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전체 하위 요소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진로탄력성’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대응표본 t 검정을 활용하여 연구 집단 별 ‘진로탄력성’ 사전-사후 측정 결과, 실험 집단에서 진로탄력성 평균의 유의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에 ‘발표하기’ 중심으로 교과 연계 진로탄력성 교육을 시행한 본 연구 효과성은 검증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결론 본 연구가 진로교육 강화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원만한 학교 적용과, 발표하기 중심의 교과 연계 진로탄력성 교육 실행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elementary career resilience education linked to subjects, focusing on ‘present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career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resilience-related content reflected in the curriculum,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areer resilience, the features and procedures of the Backward design model, and the concept and procedures of presentation. Subsequently, the research period and study group composition were determined, measurement tools were selected, research procedures based on the ADDIE model were established, and a plan for verifying research effectiveness was developed. Following this, the three-stage process of Backward design was applied to design the project unit for this study, which was then implemented. Results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were identifi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cross all sub-elements based on pre- and post-measurements. Analyzing the pure effect of this study through covariance analysis also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ross all sub-elements. Additionally, a paired sample t-test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career 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 to post-measurements. These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hich implemented career resilience education linked to subjects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mooth school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in curriculum documents, and to support the execution of career resilience education linked to subjects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오(Jung O Ryu). (2025).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191-207

MLA

유정오(Jung O Ryu). "교과와 연계한 초등 진로탄력성 교육 효과 연구: ‘발표하기’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191-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