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PPAT Picture Test Assessment According to Self-efficac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진덕(Jin-Deok Han) 제갈선아(Sun-A Je Gal)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8호, 355~3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을 분석해 장애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서 PPAT 그림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도 소재 장애대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검사와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부실기재 2명을 제외한 137명의 자료를 자기효능감 수준 상위27%(37명)과 하위27%(37명)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Contents Scale)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형식척도 14개 항목 중 공간, 통합, 문제해결력, 세부묘사 총4개 항목과 내용척도 13개 항목 중 사람의 실제에너지, 옷, 배경묘사 총3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장애대학생 자기효능감 수준을 파악하는 보조적도구로서 PPAT 그림검사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어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관련 연구의 대상의 확대를 가져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PAT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PPAT picture test as an auxiliary diagnostic tool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elf-efficacy test and the PPAT picture test were conducted on 139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a university in Province A. The data of 137 students, excluding 2 poorly recorded data, were divided into the top 27% (37) and bottom 27% (37) of the self-efficacy level and analyzed using the Format Scale (FEATS) and Contents Scale of the PPAT Pictur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of the 14 items in the form scale: space, integration, problem solving, and detail, and three of the 13 items in the content scale: physical energy, clothes, and backgroun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PPAT as an auxiliary tool to identify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PA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진덕(Jin-Deok Han),제갈선아(Sun-A Je Gal). (2025).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8), 355-367

MLA

한진덕(Jin-Deok Han),제갈선아(Sun-A Je Gal). "장애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8(2025): 355-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