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teractional Experience Between a Mother and Her 2-Year-Old Toddler Through Dialogic Picture Book Reading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2호, 43~6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인 어머니가 직접 참여자로서 만 2세 자녀와 함께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실천하며 경험한 상호작용의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한 자기서사적 연구이다. 대화식 그림책 읽기는 아동과의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언어적 표현이 발달 중인 영아와의 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실천 방식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형성되는 아이와 나 사이의 상호작용, 감정, 해석의 흐름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자의 일상 실천과정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기록, 영상 분석, 연구자의 메모, 전문가 검토 등의 방식으로 수집 및 해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연구자로서의 자의식이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삼각검증과 반복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해 영아는 보다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고, 어머니인 연구자 역시 아이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관계의 밀도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기 그림책 읽기를 통한 상호작용의 실제적 장면을 탐색함으로써, 초기 부모-자녀 관계 형성 및 그림책 읽기 실천의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elf-narrative qualitative research in which the researcher, as the mother of a 2-year-old child, participated directly in the practice of dialogic picture book reading. Dialogic reading is an interactive method that promotes communication through reciprocal dialogue, rather than one-sided reading, and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enhancing engagement and interaction with toddlers in the early stages of language development. The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al experiences that emerged between the mother and child during the process of dialogic read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aily records of shared reading sessions, video recordings, analytic memos, and feedback from external reviewers. Efforts to ensure analytical validity included continuous self-reflection on the researcher's positionality, triangulation, and repeated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dialogic picture book reading encouraged the toddler to show more active responses and helped the mother become more attuned to the child's verbal and non-verbal cue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ractice of picture book reading as a medium for early parent-child interaction, and it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aren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진. (2025).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 (2), 43-64

MLA

김혜진.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2(2025): 4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