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ading Response of 4-5-Year-Old Childre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xt in Picturebooks –Focusing on Mark Janssen's「Islan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현아 현은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2호, 2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서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유아의 읽기 반응을 살펴보고 두 그림책에 대한 유아 읽기 반응의 차이를 분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구의 직장 어린이집에 등원하고 있는 4세 9명, 5세 7명 유아를 대상으로 글 없는 그림책인「Island」와 글이 있는 그림책인「쉿! 나는 섬이야」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의 언어적, 행동적 읽기 반응을 수집하였다. 자료는 동영상, 오디오 녹음, 연구자 현장 노트 및 교육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글 없는 그림책 「Island」에 대한 언어적 읽기 반응은 그림을 세밀하게 관찰하며 해석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며, 그림을 통해 사전 경험을 그림책의 내용과 연결하는 상호텍스트적 반응을 보였다. 행동적 반응에서는 그림책 속 이미지와 사건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했다. 둘째, 글이 있는 그림책「쉿! 나는 섬이야」에 대한 언어적 반응은 글 텍스트를 듣고 그림 속 요소를 찾거나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내용을 구성했다. 행동적 반응은 교사가 들려주는 글의 내용을 듣고 그림 속 장면을 몸짓으로 재현하는 반응을 보였다. 셋째,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라 유아의 반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그림책 읽기에서 유아의 반응 양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림책을 선택할 때 글의 존재여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그림의 질과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설계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young children's reading responses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ext in picture book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ir responses to two distinct types of picture book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year-olds and five-year-olds attending a workplace daycare center in District J. The research utilized a wordless picture book, Island, and a picture book with text, Shh! I am an Island, to collect children's verbal and behavioral reading respons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video recordings, audio recordings, researcher field notes, and educational materia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sponse to the wordless picture book Island, children exhibited verbal reading responses by carefully observing and interpreting the illustrations. They also demonstrated intertextual responses by connecting prior experiences to the book's content. Behaviorally, they attempted to reenact the images and events depicted in the book. Second, when engaging with the picture book with text, Shh! I am an Island, the children responded verbally by listening to the text and identifying elements within the illustrations or constructing new narratives based on the given text. Their behavioral responses involved reenacting scenes from the book's illustrations while the teacher read aloud. Third, the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responses whether text was present or absent in the picture books.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the presence of text in picture books does not necessarily influence young children's reading responses. Therefor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whether a picture book contains text, educators should prioritize the quality of illustrations and design activities that encourag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사고 및 문제해결력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
- 전공심화과정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의미와 실천방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