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oncept Mapping Study on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지은(Jieun Jo) 최규하(Kyuha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771~78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의 내용과 그 개념적 구조를 확인하고, 심리상담의 내용을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Kane과 Trochim(2007)이 제시한 개념도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부합하는 일반 성인 12명을 면담한 후총 80개의 최종 진술문을 산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집단 유사성 행렬을 구성하여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생성된 개념도의 해석을 위해 차원과 군집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결과 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에 대한 최종 진술문 80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토대로 3개의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의 개념도가완성되었다. 두 개의 차원은 ‘긍정적 태도-부정적 태도’와 ‘상담자 요소-상담관계 요소’로 명명되었으며, 세 개의 군집은 ‘두렵고긴장됨’, ‘전문적 활동’, ‘삶에 유용함’으로 분류되었다. 진술문의 중요도는 평균 3.36점(SD=.85)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과 국가적 지원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저변 확대를 위한 정책 수립의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tent and conceptual structure of psychological counseling as per ceived by the general public, us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and to examine the perceived importance of counseling-related cont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proposed by Kane and Trochim (2007). Semi 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general adult participants, resulting in a final set of 80 statements. A similarity matrix was generated based on these statements and analyz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ing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concept map were then sub sequently interpreted and labeled. Results A total of 80 statements reflecting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derived. Based on these statements,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consisting of three clusters was generated. The two dimensions were labeled “Positive Attitudes-Negative Attitudes” and “Counselor Factors-Counseling Relationship Factors.” The three clusters were named “Fear and Tension,” “Professional Activities,” and “Life Usefulness.” The overall perceived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was moderate, with an average score of 3.36 (SD = .85). Conclusions In a time of increasing national interest and investment in mental heal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and policies aimed at improving public perceptions of psycho logical counseling and enhancing service accessi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지은(Jieun Jo),최규하(Kyuha Choi). (2025).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771-786

MLA

조지은(Jieun Jo),최규하(Kyuha Choi). "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771-7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