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태원 참사 기사문의 비판적 담화 분석: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에 기반하여

이용수  0

영문명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the Itaewon Tragedy: Based on Appraisal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유지한(Jihan Yoo) 한정한(Jeonghan Ha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391~41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고의 목적은 ‘이태원 참사’에 관한 한겨레와 조선일보의 신문 기사문을 대상으로 비판적 담화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을 시도해 보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고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텍스트 분석 방법론으로 원용되고 있는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Appraisal theory)을 신문 기사문의 비판적 담화 분석에 적용해 보았다. CDA는 언어와 권력, 사회의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텍스트 분석이 단순한 표면적 의미에 머무르지 않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권력 구조와 사회적 맥락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해야 한다고강조한다. 본 연구는 평가어 이론을 통해 한겨례와 조선일보의 기사, 칼럼, 사설에 나타나는 평가어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각기 다른사회적 맥락에서 평가어가 어떻게 선택되고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특정 정치적 맥락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결과 이러한 비판적 담화 분석을 위해 우리는 이태원 참사 사건을 구성하는 주요 참가자, 즉 정부(여당), 야당, 경찰, 집회/시위, 참가시민별로 감정평가, 행위평가, 정황평가의 분석 결과를 재배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재배치를 통해 어떤 평가자가 어떤 평가 대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어떤 평가자가 어떤 평가 대상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는지를 알 수 있었고, 또 어떤 평가자가 특정 평가 영역에서만 한정적으로 평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는 다시 두 신문사의 언어 외적/사회적 맥락(Level 3)이나 정치적/역사적 맥락(Level 4)과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태원 참사에 관한 한겨레와 조선일보 신문 기사문의 평가어 분석을 통해 필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두 신문사가 양극단으로갈라져 있는 우리 사회를 거의 그대로 대변할 뿐, 사회의 갈등을 봉합하고 그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on the newspaper articles of Hankyoreh and Chosun Ilbo about the ‘Itaewon tragedy.. Methods To this end, this paper applies the appraisal theory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as a methodology for text analysis in various fields, to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CDA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power, and society, and emphasizes that textual analysis should go beyond mere surface meanings to deeply understand the power structures and social con textual meanings behind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appraisal in articles, columns, and editorials in Hankyoreh and Chosun Ilbo through the theory of appraisal, and examined how appraisal is selected and used in different social contexts and how it is utilized in specific political contexts. Results For th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 rearranged the analysis results of Affect, Judgment, Appreciation by the main participants in the Itaewon tragedy: the government (ruling party), opposition, police, rallies/demon strations, and participating citizens. This rearrangement allowed us to see which evaluators positively evaluated which targets, which evaluators negatively evaluated which targets, and which evaluators were limited to certain areas of appraisal. We also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re inevitably linked to the extra-linguistic/social context (Level 3) and political/historical context (Level 4) of the two newspaper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of appraisal in the Hankyoreh and Chosun Ilbo newspaper articles on the Itaewon tragedy, We can confirm that the two newspapers almost represent our society as it is, divided into two polarized groups, but they do not have the ability or willingness to bridge the gap and resolve the conflict in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이론적 배경
Ⅴ. 한겨레와 조선일보의 태도평가 분석 결과
Ⅵ. 평가어 분석 결과와 비판적 담화 분석(CDA)의 관계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한(Jihan Yoo),한정한(Jeonghan Han). (2025).이태원 참사 기사문의 비판적 담화 분석: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391-417

MLA

유지한(Jihan Yoo),한정한(Jeonghan Han). "이태원 참사 기사문의 비판적 담화 분석: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에 기반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391-4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