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with Infa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한희진(Hee-JIn Han) 권덕수(Deoksu K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695~70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 패널(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Panel Study)’ 1차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 대상은 2,440명이며, 연구문제 탐색을 위해 상관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과 같은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어머니의 일반적인 특성별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의 경우에 34세~37세인 집단이 30세~33세인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의 경우에 고등학교 졸업이하 집단이 대학 졸업 집단과 대학원 졸업 집단보다, 전문대 집단이 대학 졸업 집단과 대학원 졸업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취업여부와 관련해서 미취업/미취학 집단이 취업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출산계획 여부와 관련하여 출산 계획이 없는 경우가 출산 계획이 있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가정소득의 경우는 300만원 이하인 집단이 601만원 이상인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최종학력, 사회경제적지위, 자녀가치, 사회적 지원, 남편의 양육참여, 출산 및 양육교육 참여와 같은 변수가 통계적으로유의미하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변수로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교육적·정책적 제언을 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with infants. Methods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data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Panel Study(KECEP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tilized. The final analytic sample comprised 2,440 participants.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amining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general mater nal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Mothers aged 34-37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arent ing stress compared to those aged 30-33. In terms of educational attainment, mothers with a high school diploma or les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ose with a college or graduate degree, and those with a two-year college degree also showed higher stress than mothers with a four-year college or graduate degree. Regarding employment status, non-working or non-student mother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employed mothers. Mothers without future childbirth plans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stress than those with such plans. Additionally, mothers in households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KRW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than those with incomes exceeding 6.01 million KR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several variab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stress-reducing effects on maternal pa renting stress. Specifically, higher maternal educational attainment, greater socioeconomic status, positive child rearing values, stronger perceived social support, increase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and participation in childbirth and parenting education were all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parenting stres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education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to alleviate maternal parenting stress. Additio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희진(Hee-JIn Han),권덕수(Deoksu Kwon). (2025).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695-707

MLA

한희진(Hee-JIn Han),권덕수(Deoksu Kwon).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695-7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