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job autonomy of employees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서혜림(Hye Rim Seo) 정기수(Ki Soo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837~847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경로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직장인 302명을 대상으로 2025년 1월 6일부터 1월 20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for Windows 2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하였다. 결과 직장인의 직무자율성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2단계 분석결과에 비해 3단계 분석결과에서 감소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잡크래프팅은 직장인의 직무자율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405, p<.001). 그리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결과, 잡크래프팅(Z=5.14, p<.001)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잡크래프팅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조직 차원에서 조직구성원에게 자율적인 업무 분위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성장은 물론 조직성과 제고에 기여할 수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 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is path.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6 to January 20, 2025 targeting 302 workers in the metropoli tan area,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28.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performance, a three-step re 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 ing the Sobel test.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performance decreased in the third stage analysis results compared to the second stage analysis result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howing that job crafting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β=.405, p<.001).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Z=5.14, p<.001) was verified. Conclusions This study verified that job autonomy of office workers significantly affects job performance and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sought ways to form an autonomous work atmosphere for organ ization membe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ersonal growth of organization member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혜림(Hye Rim Seo),정기수(Ki Soo Jung). (2025).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837-847

MLA

서혜림(Hye Rim Seo),정기수(Ki Soo Jung).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837-8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