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인지 활용 성찰적 독후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H중학교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Read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Reflective Reading Activities Using Metacogni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문미경(Mi Kyung M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861~87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인지를 활용한 독후활동을 한 중학생들의 독서 태도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방법 연구를 위해 2020년 서울 소재 H중학교 1학년 네 반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몰입하는 독후활동의 범주를 발굴해 2021년 H중학교 1학년 독서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로써 H중학생들은 ‘칭찬하기’와 ‘독서 목록 나열하기’를 포함한 저부담 독후활동에 꾸준히참여하였다. 아울러 2022년 서울 소재 K중학교의 인지적 독후활동을 분석해 성찰적 독후활동의 효과를 대비하고자 하였다. K중학교 학생들은 매시간 독서 후 읽은 내용을 요약하고 느낌을 적는 인지적 독후활동을 수행했고 한 학기 수업이 완전히 종료한 후 자신의독서활동을 칭찬하는 활동과 읽은 책을 나열하는 내용을 포함한 설문에 답하게 했다. 결과 인지적 독후활동을 한 K중학교 학생들에 비해 H중학교는 수업 분석 결과 독서 효능감, 독서 열정, 독서 의지를 나타냈다. 독서량도 K중학교 평균 독서량이 3.4권인 반면에 H중학교는 8.7권으로 배 이상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성찰적 독후활동은 모니터링하기와 평가(칭찬 및 격려)하기라는 메타인지 영역과 관련된 독후활동으로 학생들이 독서에 더 몰입하게 해 독서에 흥미를 느끼게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결과적으로 중학생들이 독서 활동을 통해 흥미와 재미를 경험할 때 지속적인 독서 태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독서를 위해서는 책 내용 이해에 중점을 둔 인지적 독후활동을 경험하기 이전에 메타인지를 활용한 성찰적 독후활동을 장려하는 것이 평생교육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the changes in read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con ducted reading activities using metacognition.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four classes in the first grade of H Middle School in Seoul in 2020 were targeted for reading activities that students are immersed in and applied to the reading class for the first year of H Middle School in 2021. As a result, H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low-burden reading activities, including ‘praise’ and ‘list reading list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gnitive reading activities of K Middle School in Seoul in 2022, we tried to compare the effects of reflective reading activities. After each hour of reading, K middle school students performed cognitive reading activities to summarize what they read and write down their feelings, and after one semester's class was completely over, they were asked to answer a ques tionnaire that included activities to praise their reading activities and listing books they read. Results Compared to K middle school students who engaged in cognitive reading activities, H middle school showed reading efficacy, passion for reading, and willingness to read as a result of class analysis. In terms of read ing volume, the average reading volume of K middle school was 3.4 books, while H middle school had 8.7 books, showing a more than double difference. In the end, it was found that reflective reading activities were related to the metacognitive domain of monitoring and evaluation (praise and encouragement), making students more im mersed in reading and more interested in reading. Conclus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terest and fun through read ing activities, a continuous reading attitude appear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for continuous reading, it is also necessary for lifelong education to encourage reflective reading activities using metacognition before experienc ing cognitive reading activities that focus on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boo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미경(Mi Kyung Mun). (2025).메타인지 활용 성찰적 독후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H중학교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은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861-875

MLA

문미경(Mi Kyung Mun). "메타인지 활용 성찰적 독후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H중학교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은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861-8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