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Media Literacy-Based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Learning Attitudes: A Case Study of K Univers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현(Jihy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251~26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의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서울 소재 K대학교의 교양 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애니메이션 어린 왕자를 교재로 이용하였다. 실험 과정은 영화 내용 이해, 언어학습, 주어진 주제로 조별토론, 개별 작문, 공유 활동 순으로 이루어졌다. 이해 및 쓰기 부분의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 평가를 실시하였고,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의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확인하기 위해 폐쇄형문항과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진행하였다. 결과 사전, 사후 평가 결과,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다. 쓰기 영역에서는 글의 논리성과 글의 길이에서 유의미한 상승을나타났으나 문법 영역은 차이를 보지 않았다. 설문 결과, 학생들의 참여도, 흥미도, 만족도가 모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교육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학습 동기를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영어 수업이 이해 영역과 비판적 사고 및 학습 참여와 동기 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 literacy-based activities on university stu 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learner attitud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2 students enrolled in a general English course at K university in Seoul, using the animated version of The Little Prince as the main material. The experimental process consisted of un derstanding movie content and language learning, group discussions on given topics, individual writing tasks, and sharing activities. Two 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achievement in the areas of comprehension and writing, and both closed-end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students' at titudes and responses to the media literacy-based English lessons. Results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mprehension domain. In the writing domain, there was a meaningful increase in logical structure and text length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 ence was observed in the grammar domain. Survey results revealed positive feedback regarding student partic ipation, interest, and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confirmed that media literacy-based educ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edia literacy-based English instruction positively enhances stu dents' comprehension, critical thinking, and engagement with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설계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현(Jihyun Lee). (2025).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251-264

MLA

이지현(Jihyun Lee).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251-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