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담임 여교사의 체육 수업 경험과 시사점

이용수  0

영문명
The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by Elementary Homeroom Female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새로미(SaeRoMi Park) 박재정(JaeJeo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727~74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담임 여교사의 체육 수업 경험을 살펴보고 그 경험 속에 담겨진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3년 이상의 체육 수업 경험이 있는 4명의 여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서 및 문헌을 통해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전사본을 귀납적으로 읽고,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며 연구 주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을 도출하여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주제를 생성하였다. 결과 첫 번째 연구 결과인 ‘교사의 경험: 오리무중(五里霧中)의 과정’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학창 시절부터 현재까지 체육 수업과관련하여 경험한 혼란과 어려움의 과정을 조명하였다. 두 번째 연구 결과인 ‘시사점: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체육 수업’에서는 체육수업이 단순한 신체활동에 그치지 않고,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배움의 여정으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체육수업이 단순한 신체활동을 넘어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며, 교사와 학생 간의 약점 공유와 성장을 통해 의미 있는 배움의 장으로 발전할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체육수업의 포용적 환경 조성과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체계적 수업 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결론 체육수업은 신체활동을 넘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배움과 성장을 제공하는 과정임을 확인했으며, 이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기위해 교사, 학교, 제도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female home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meanings embedded within those experiences.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documents, and literature with four fe male teachers who had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During the analysis process, the transcripts were inductively reviewed, key sections were high lighted, and essential content relevant to the research topic was extracted to generate themes aligned with the study's objectives. Results The first theme, “Teachers’ Experiences: A Process of Uncertainty”, highlights the confusion and chal lenges that the participants encountered in relation to physical education (PE) from their school years to their cur rent teaching experiences. The second theme, “Educational Significance: Perseverance in Physical Education”, reveals that PE is not merely about physical activity but serves as a journey of holistic growth. It underscores how PE fosters personal development beyond movement, enabling teachers and students to share their weaknesses and grow together, thus creating a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ne cessity of designing structured PE lessons through the creation of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en hanc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expertise. This finding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crete action plans for improving and advancing PE instruction. Conclusions Physical education (PE) goes beyond mere physical activity, serving as a process of learning and growth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study suggests that enhancing the quality of PE requires efforts at multiple levels, including teachers, schools, and institutional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새로미(SaeRoMi Park),박재정(JaeJeong Park). (2025).초등 담임 여교사의 체육 수업 경험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727-743

MLA

박새로미(SaeRoMi Park),박재정(JaeJeong Park). "초등 담임 여교사의 체육 수업 경험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727-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