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ublic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Counseling: Focusing on Big Data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채경찬(Kyung Chan Chae) 김민(Min Kim) 김강서(Gang Seo Kim) 고은영(Eun Young Koh)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759~77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심리상담의 이용자인 대중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어떠한지를 경험적으로 탐색하여 관련 기술개발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구글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 랩을 통해 인공지능심리상담의 검색량이 올라가기 시작한 시점인 2022년 7월 1일부터 2025년1월8일 까지 텍스톰을 통해 포털사이트 데이터 2,521건을 조사하였다. 이를 빈도분석과 TF-IDF, 감성 분석, CONCOR 분석을수행 하였다. 결과 빈도분석과 TF-IDF에서는 공통으로 ‘인공지능심리상담’과 ‘AI심리상담’ 키워드가 빈도와 중요도에서 모두 상위권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분석 결과 긍정이 총 64.71%, 부정이 35.29%로 긍정이 더 높게 나타나,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CONCOR분석에서는 연관성이 높은 4개의 군집을 도출했다. 각각의 군집은 ‘인공지능심리상담의 미래’, ‘인공지능심리상담의 투자 가치’, ‘인공지능심리상담 교육과 법’, ‘인공지능심리상담의 발전 방향’으로 명명하였고, 이를 통해 대중이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분석 결과 첫째, 대중은 인공지능 상담을 혁신적인 기술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둘째, 인공지능심리상담 시스템의 사회적 수용과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완성도를 높이는동시에, 법적 제도의 정비가 병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public'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o provide relat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basic data. Methods From July 1, 2022, when searches for AI psychological counseling began to increase, to January 8, 2025, we investigated data from 2,521 portal sites via Textom using Google Trends and Naver Data Lab. W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TF-IDF, sentiment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on this. Results In frequency analysis and TF-IDF, the keywords ‘AI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I psychological coun seling’ were found to be in the top ranks in both frequency and importance.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ositivity was higher at 64.71% and negativity was 35.29%, indicating that the perception of AI psychological counseling is generally positive. The CONCOR analysis results revealed four clusters with high correlations. Each cluster was named ‘The Future of AI Psychological Counseling’, ‘Investment Value of AI Psychological Counseling’, ‘AI Psychological Counseling Education and Law’,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I Psychological Counseling’, confirming that the public has both expectations and concerns about AI psychological counseling. Conclus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ublic perceives AI counseling as an innovative technol ogy and positively evaluates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the services provided by this system. Second, in order to promote social acceptance and diffusion of AI 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s, the technological per fection must be improved while also reforming the legal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경찬(Kyung Chan Chae),김민(Min Kim),김강서(Gang Seo Kim),고은영(Eun Young Koh). (2025).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759-770

MLA

채경찬(Kyung Chan Chae),김민(Min Kim),김강서(Gang Seo Kim),고은영(Eun Young Koh).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759-7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