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예신(Yeshin Park) 김동일(Dong-il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60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전공과에 재직 중인 초・중등 담임 특수교사 27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ANOVA 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PROCESS macro 4.3 프로그램의 model 4번과 6번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의사소통역량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부모 협력은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였다. 셋째, 교사효능감은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넷째,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은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의 발전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efficacy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77 special education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Various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8.0 program-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model 4 and 6 of the PROCESS macro 4.3 progra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as also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communication competence negatively affected burnout. Second, teacher-parent partnership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Third, teacher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Fourth, teacher-parent partnership and teacher 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vancing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완전통합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중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같은 반 친구들의 학교생활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성과와 개선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 발달장애인의 월경 경험 및 지원 요구 탐색: 당사자, 부모, 교사를 중심으로
- 특수교사의 번영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학생 관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습지원이 필요한 다양한 학습자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인식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2024년을 중심으로
- 자폐성장애인의 특별한 재능을 반영한 강점 기반 교육지원 모델 개발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핵심역량 하위요소 분석 연구: 초등학교 5-6학년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형 개별화전환계획(ITP) 양식 개발: 학교유형별 첨부형 및 혼합형 ITP
- 긍정적 행동지원에 기초한 교실차원 기능기반 팀중재(CW-FIT)가 고등학교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