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간 매개효과 크기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Focused on Comparison of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Mother's Self-Esteem,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효식(Hyosik Choi) 연은모(Eun Mo Y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193~20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 자녀를 둔 가정의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간 구조적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간 매개효과 크기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한국 영유아 교육·보육 패널 1차(2022년) 자료의 2,5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v4.3.1을사용하였으며, PROCESS Model 4를 적용하였다. 매개효과와 매개효과 크기 간 차이 비교를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어머니의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적인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긍정적 양육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부부갈등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설명하지 못했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긍정적 양육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장 큰 매개효과는 양육스트레스이며, 다음으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높임으로써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측면으로 관여 수준을 높일 때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ther’s paternal involve ment, mother’s self-esteem,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and to investigate potential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Methods For these goals, we applied Hayes' PROCESS Macro v4.3.1 and PROCESS Model 4 to 2,567 data from the the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nel survey(2022). We also demonstrated Bootstrapping to compare between sizes of mediating effects. Result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d mothers' self-esteem and lowered mothers'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Second,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mother's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arital conflict did not explain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ediated by the mother's self-esteem, and the father's parenting partic ip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Fourth, the big gest mediating effect is parenting stress, followed b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an be promoted by increasing fa ther’s parental behavior, and its effect can get greater when father’s involvement can increased in terms of low ering mothers' parenting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2025).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간 매개효과 크기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193-205

MLA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간 매개효과 크기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193-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