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Interview Assignment Experience of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with Practicing Child Counselors: A CQR-M Stud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이삭지순(Isaac Ji Soon Yim) 이현주(Hyeonju Yi) 김세영(Seyoung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21~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학 전공 학부생들의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을 CQR-M으로 탐구함으로써, 상담학 전공 학부생들에게임상현장과 연결된 인터뷰 과제 경험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20년 9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총 6학기 동안 B대학교의 아동상담 수업에 참여한 80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인터뷰 과제후 작성한 보고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읽기와 개별 코딩, 범주화 및 연구자 간 합의를 포함하는 수정된 합의적질적연구(CQR-M)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의 경험과 의미에 대해 4개 영역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영역별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인터뷰 과제를 통해 학부생들은 예비 아동상담자로서 자신을 돌아보는 경험적 성찰의 시간을 가지며, 역량 있는 아동상담사로 성장하고자하는 열정과 동기를 경험했다. 둘째, 학부생들은 아동상담사에 대한 경험적 배움으로 아동상담사의 자질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며, 현장 중심의 아동상담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셋째, 학부생들은 아동상담에 대한 경험적 배움으로 아동을내담자로 하는 아동상담의 독특성과 부모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놀이와 미술 등 아동상담의 실제적 기법을 학습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부생들은 아동상담사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진로 준비과정을 주도적으로 파악하고 관련한 진로 탐색 활동을 시작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현직 아동상담사와의 인터뷰 경험이 학부생의 아동상담사로서의 전문성 함양과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상담학 전공 학부생 교육에 현장경험을 통합한 교육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s they com plete interview assignments with practicing child counselors,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method. The goal is to reveal the meaning of such field-based interview experiences in the professional de velopment of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80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ild counseling courses at B University over six semesters, from September 2020 to June 2023. The students submitted written reports after completing interviews with practicing child counselo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QR-M method, which involves iterative reading, individual coding, categorization, and researcher consensu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four domains and 17 categories that reflect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ived meanings of the interview assignment. First, through reflective experiences as prospective child counselors, students engaged in self-reflection and de veloped motivation and passion to grow as competent professionals. Second,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about child counselors, they developed new perspectives on counselor qualities and expanded their understanding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grounded in real-world practice. Third, students gained experiential insight into child counseling, recognizing the uniqueness of working with child clients, the importance of parent counseling, and learning practical techniques involving play and art. Lastly, students began actively identifying concrete steps for career preparation and exploring future paths related to child counseling.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view experiences with practicing child counselor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occupational identity among undergraduate coun seling studen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field-based experiences into counselor edu 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이삭지순(Isaac Ji Soon Yim),이현주(Hyeonju Yi),김세영(Seyoung Kim). (2025).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21-37

MLA

임이삭지순(Isaac Ji Soon Yim),이현주(Hyeonju Yi),김세영(Seyoung Kim).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2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