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자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mote Their Self-Compa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명애(Myung Ae Oh) 이수연(Su Youn Lee) 천성우(Seong Woo Cheon) 박정환(Jung Hwan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113~13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자기자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설계에 따라 S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 총32명을 모집하여 학교생활적응, 자기자비 척도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40분씩 총 14회기의 프로그램을 운영한 반면, 비교집단은그 기간 동안 정규 수업만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두 집단에 대해 사후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자기친절, 보편적인간성, 마음챙김에서도 모두 효과가 확인되었다.둘째,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사후검사 결과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검증되었고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 간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발달적, 문화적 특성에 맞는 감각 및 신체 놀이와 함께 호기심을 자극할수 있는 체험활동을 중심 내용으로, 회기별 주제에 알맞은 인문학 이미지와 e-동영상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의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건강한 성장과 바람직한 학교생활 및 창의체험 활동에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omoting effects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 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compa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32 second-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were recruited,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the comparison group (CG) (16 students each). Before starting the program, a pretest for both group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ir scales of school life adap tation and self-compassion. The EG was operated on a self-compassion promoting program for a total of 14 ses sions, twice a week for 40 minutes each, while the CG only attended regular classes during the period. Both groups were simultaneously examined a post-test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for the E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elf-compassion, the pretest confirme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and the post-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effect for the EG. Significant effects were also confirmed in the all sub-factors of self-compassion. Second, in the case of school life adapta tion,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was confirmed in the pretest, and the results of the post-tes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the EG. Significant effects were indicated in all of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Conclusion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self-compassion and school life adapta 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to stimulate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by utilizing the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ppropriate for the theme of each session.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necessary for healthy growth, desirable school life,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el ementary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명애(Myung Ae Oh),이수연(Su Youn Lee),천성우(Seong Woo Cheon),박정환(Jung Hwan Park). (2025).자기자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2), 113-132

MLA

오명애(Myung Ae Oh),이수연(Su Youn Lee),천성우(Seong Woo Cheon),박정환(Jung Hwan Park). "자기자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2(2025): 113-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