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아(Jin Ah Lee) 김형빈(Hyung B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2호, 281~2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5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와 모의 학업성취압력 척도,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신뢰도를 산출하였다. 셋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모형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학교생활적응,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의 학업성취압력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를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직접효과도 여전히 높았다. 넷째, 부의학업성취압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경로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조절과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middle school students’ adjust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Busan and responses were col lected through the father and mother’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ca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ollow ing procedure.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econd, the reliability was calcula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hird, a correla 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o 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 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Fifth, bootstrapping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Results First,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of father and mother'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Second, the father'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 ment by mediati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ut the mother'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ird, the pressure of father and mother's academic achievement had a negative ef fect on school adjustment by mediating self-efficacy, and the direct effect was still high.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efficacy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understand in-dep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middle school students’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to reduc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increase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군집유형에 따른 자기주도성과 학업성취도 분석
- 신혼기 남녀의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갈등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 국내 증강현실 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성 연구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대학 영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 치매관리시스템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 임용고시 준비생의 취업시험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교-직장 이행 유의미성과 의미 위기의 병렬다중매개효과와 사회적 관심의 매개된 조절효과
- 그림책을 활용한 문제해결중심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감정일기 활동이 유아의 감정조절 및 감정표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비자살적자해와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 대학생 대상 내러티브 기반 창작무용 수업 실행연구
- 자기자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자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K-12 환경에서 학습자 성별에 따른 AI기반 교육용 코스웨어 인식의 구조적 차이 분석
- 중등학교의 학교장 리더십, 교사 효능감, 교사의 사기, 교직 만족도 간의 구조관계 분석: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를 바탕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대학소속감 잠재계층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의 심리적 특성 잠재집단 탐색 및 영향 요인 검증: 학교적응, 삶의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간 매개효과 크기 비교
- 질문 중심 독서토론 하브루타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 유아 그림책의 글과 그림에 나타난 치매 할아버지의 특성 분석
- 학생 간호사의 응급실 실습 중 이차 외상 극복 경험
- 미디어 리터러시 기반 활동이 대학생의 영어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유년시절 경험한 바깥놀이에 대한 은유분석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착각의 매개효과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대학생의 생성형 인공지능 인식 이해
- 20대 남성의 과도한 남성성과 분노 행동의 관계: 반추와 분노 정서의 순차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작업기억 연구 동향 비교
- 유아교사의 책무성,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가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이태원 참사 기사문의 비판적 담화 분석: 체계기능언어학의 평가어 이론에 기반하여
-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 성인을 대상으로 한 내현적 자기애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을 통한 타인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 상호주의적 다문화 시민교육 개선 방안 고찰: 한일사회의 다문화 사회 정착 과정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심리적안녕감, 행복감 및 조직몰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 윤리 역량 강화를 위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인공지능 융합 수업 모형 개발
- 조직 구성원의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코칭리더십의 조절효과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과 비판적사고성향이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술고등학교 현대무용 전공학생의 레퍼토리 작품 수업이 무용수행능력과 무용성취에 미치는 효과
- 공무원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환자안전 간호 경험: Colazzi의 현상학적 연구
-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운영 실태 분석: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초등 담임 여교사의 체육 수업 경험과 시사점
- 부모자녀 관계가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심리상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태도: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일반인이 인식하는 심리상담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자아 성찰과 타자 이해’를 위한 고등학교 문학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제언
- 호흡과 함께 지금 이 순간에 머물다: 요가를 통한 마음챙김 체득과정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대학생의 문제해결형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활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의 자기 조절력 향상을 위한 TA 기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요구 분석
- 직장인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태도의 의미와 초등 도덕 교육에의 함의
- 메타인지 활용 성찰적 독후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관한 사례 연구: H중학교 학생들이 책을 많이 읽은 이유는 무엇인가
-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attern, Self-Esteem Level and Stability, and Relationship Perception Level and Stability in Heterosexual Coupl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