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Corpus-Based Comparison of Lexical and Syntactic Featur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ChatGPT-Generated Text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희(Younghee Cheri Lee) 강준수(Junsoo Kang)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31권 제2호, 155~1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generative AI texts as supplementary educational resources by comparing the lexical and syntactic features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ith those of texts generated by ChatGPT. A parallel corpus comprising 47 passages from te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and their AI-generated counterparts was compiled for analysis. Four linguistic metrics were analyzed: number of word types, standardized type-token ratio (STTR), mean word length (MWL), and mean sentence length (MSL). WordSmith Tools 7.0 was used for corpus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ssessed through independent 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extbook passages contained a greater number of word types, ChatGPT texts demonstrated higher lexical diversity and longer mean word lengt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entence leng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I-generated texts can offer enriched lexical input while maintaining structural clarity, thus serving as effective supplementary materials in classroom instruction. The study offers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secondary English education, especially for enhancing vocabulary exposure and expanding learner-centered reading resourc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어문교육 제31권 제2호 목차
- Interpreting Imageable Idioms across Cultures
- EFL Learners’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Its Relationship with Grammar Achievement
- Constructing Communicative Repertoires in a Multilingual Workplace: A Case Study of a Japanese Expatriate Employee
- The Integration of Form and Meaning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 온라인 비대면 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교현장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Wh-의문문의 습득 순서 탐색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반복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