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이용수 0
- 영문명
- Padlet-based freewriting in English: Strategies for reducing writing anxiety and enhancing learning outcomes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진승희(Seunghee Ji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31권 제2호, 201~2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Padlet-based freewriting activities on reducing L2 writing anxiety, improving writing performance, and proposing effective writing strategies for Korean EFL learners. Over a semester, 17 undergraduate English education majors participated in freewriting activities using Padlet, a collaborative digital tool designed to facilitate non-evaluative, low-anxiety writing practice. A pre- and post-study design was employed, utilizing Cheng’s (2004) Second Language Writing Anxiety Inventory (SLWAI), holistic writing assessments, and a learner perception, experience, and satisfaction survey.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dlet-based freewriting significantly reduced writing anxiety and contributed to writing improvement. Survey findings further indicated that students valued the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aspects of the activity, highlighting how digital platforms can enhance writing engagement, confidence, and motivation. Padlet seemed to facilitate freer expression and peer interaction, easing affective barri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pedagogical strategies, such as incorporating digital tools for peer interaction, using freewriting as a writing technique, and fostering non-evaluative, collaborative, and supportive classroom environments. These approaches aim to improve learner engagement, writing development, and anxiety reduction in EFL education. The results underscore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digital platforms in mitigating writing anxiety and enhancing writing outcomes in EFL writing instruc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교육적 전략 제안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어문교육 제31권 제2호 목차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Wh-의문문의 습득 순서 탐색
- EFL Learners’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Its Relationship with Grammar Achievement
- Interpreting Imageable Idioms across Cultures
- Constructing Communicative Repertoires in a Multilingual Workplace: A Case Study of a Japanese Expatriate Employee
- The Integration of Form and Meaning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 온라인 비대면 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교현장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반복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