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i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n Nursing Practice Readines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솔(Sol Kim) 하윤주(Yun Ju H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357~37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실무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09월 G광역시에 소재한 6개의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이며, 졸업예정인 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온라인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준비도는 간호정보핵심역량(r=.49, p<.001)과 비판적사고성향(r=.65, p<.001)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판적사고성향(β=.54, p<.001), 임상실습경험(β=.20, p<.001), 전공만족도(β=.13, p<.001), 간호정보핵심역량(β=.14, p<.001)은 간호실무준비도에 대해 49.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간호실무준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을 강화를 기반으로 한 간호실무준비도 향상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방법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와 학생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전공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임상실습 경험의 확대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nursing practice readiness by assessing the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nursing practice readiness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th year students expected to graduate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n G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3.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WIN 26.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actice readiness and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r=.49,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54, p<.001). In addition,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etency(β=.1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54,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β=.13, p<.001), clinical practice experience(β=.20, p<.001) have a 49.0% explanatory power for the nursing practice readiness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readines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rsing practice readiness improving program and improve education methods based on strengthening nursing information core comptenci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through coopera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to expand divers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솔(Sol Kim),하윤주(Yun Ju Ha). (2025).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357-370

MLA

김솔(Sol Kim),하윤주(Yun Ju Ha).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357-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