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고찰: ‘알맞은’과 ‘적절한’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entence-Final Expression Styles of in Multiple-Choice Assessment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vocabulary ‘알맞은’ (appropriate) and ‘적절한’ (suitable) used in the question stem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나경(Na kyeong L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65~8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선다형 평가 문항의 문두에 사용된 종결 표현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현재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의 문두 종결 표현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상을 분석하여 선다형 문항 개발에 있어 적합한 문두 작성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평가 문항의 문두에 사용한 ‘알맞은’과 ‘적절한’의 어휘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3∼6학년의 문해력 진단 검사지를 분석하여 학년별, 어휘 의미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두에서 ‘알맞은’과 ‘적절한’의 어휘 사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의 종결 표현은 학년 수준에 따르거나 어휘 의미에 기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문항의 내용에도 문두의 종결 표현이 달라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문항의 문두 작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 혼란스러움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선다형 평가의 문두 작성에 관한 기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선다형 평가 문항 제작에 있어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민감성이 필요하며, 가장 적확한 어휘를 사용한 문두 작성 지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나아가 평가 상황은 교육의 연장선이라는 것과 국어과의 도구 교과로서의 역할을 고려해 보았을 때, 국어과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에 사용한 어휘는 더욱 적확하게 사용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ssues of sentence-final expression styles in multiple-choice assessm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plore the most optimal approach.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we analyzed literacy assessment questions from 3rd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vocabulary ‘알맞은’ (appropriate) and ‘적절한’ (suitable) used in the question stem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grade level and word meaning. Additionally, we examin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알맞은’ and ‘적절한’ in question stems. Results Initially, It was found that the sentence-final expressions in multiple-choice assessments lacked consistency. Additionally, teachers' perceptions of this issue were also found to be unclear. We discovered the need for clear guidelines on constructing sentence-final expressions in multiple-choice assessmen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nsitivity to sentence-final expression styles is necessary when creating multiple-choice assessment questions. We must develop and disseminate guidelines for constructing question stems using the most precise vocabulary. Assessment is an extension of education. Additionally, the Korean language subject must faithfully fulfill its role as a foundational tool for learning. In other words, the vocabulary used in question stems for Korean language multiple-choice assessments must be even more precise.

목차

Ⅰ. 서론
Ⅱ. 초등 선다형 평가의 문두 종결 표현 분석 –초등학교 3∼6학년 문해력 진단 검사지를 중심으로
Ⅲ. 문두의 종결 표현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양상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나경(Na kyeong Lim). (2025).초등학교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고찰: ‘알맞은’과 ‘적절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65-80

MLA

임나경(Na kyeong Lim). "초등학교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고찰: ‘알맞은’과 ‘적절한’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65-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