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Beliefs on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Co-Parenting of Working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은진(Eunjin Jang) 김지현(Jihyu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777~79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가 함께하는 양육으로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공동양육의 관계에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어머니 191명, 아버지 180명 총 37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 편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으며,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부모공동양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직장 내 일-가정 양립 제도 시행 여부와 가정의 월평균 수입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공동양육에서 부모역할신념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유아기 맞벌이 부모가 일과 가정 사이의 갈등이 있으면 어머니와 아버지의 역할에 대해 양성평등적인 신념을 덜 가지게 되어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을 분담하면서 서로 협력할 수 있는 정도를 낮춘다는 점을 의미하고, 이 매개효과는 아버지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가 경험한 일-가정 양립 갈등은 부모공동양육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경우 일-가정 양립 갈등이 직접적인 영향력이, 아버지의 경우 부모역할신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력이 더 강력하게 작용함을 밝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맞벌이 부모의 부모공동양육 수준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o-parenting among working families of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role beliefs on this relationship. Methods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71 participants, consisting of 191 mothers and 180 fathers from working familie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yea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employ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In addition, workplace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nd the household’s average monthly income were controlled as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parental role belief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o-parenting for both mothers and fathers. Conclusions These research results imply that when working parent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e conflict between work and home life, they are less likely to have gender-equal beliefs about the roles of mothers and fathers, which reduces the degree to which they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sharing the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and this mediating effect is greater for fathers. In addition, work-family conflict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and fathers during young children was found to influence co-parenting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For mothers, work-family conflict had a more direct impact, whereas for fathers, the effect was more strongly mediated through parental role beliefs. Moreover, the result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aimed at improving co-parenting levels and supporting balanced work-family integration in working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은진(Eunjin Jang),김지현(Jihyun Kim). (2025).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777-792

MLA

장은진(Eunjin Jang),김지현(Jihyun Kim).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777-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