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영(Hyeyoung J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17~3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이 기후변화 대응⋅전망과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후변화 문제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청소년이 주도하는 탄소중립 추진 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의 일부를 발췌하였다. 고등학생 총 1,067명을 대상으로 SPSS 23.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으로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매개변인은 부트스트랩핑 방법으로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기후변화 대응⋅전망과 실천역량은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과 기후변화 문제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성이 나타났다. 둘째,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은 기후변화 문제인식, 실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 기후변화 대응⋅전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문제인식은 실천역량과 기후변화 대응⋅전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한 감정이 기후변화 대응⋅전망과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후변화 문제인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문제의식의 중요성이 확인된 것으로 청소년의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고, 이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on the impact of emotions toward climate change on climate change responses, 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Methods For this purpose, a portion of the data used in the “Study on Carbon Neutrality Promotion Strategies Led by Youth”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was extracted. A total of 1,067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0.0.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their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ediating variable was tested for effectiveness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responses, 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and emotions toward climate change as well as perception of the climate change problem. Second, emotions toward climate chang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and practice competency, while having a negative impact on climate change responses and prospects. Additionally,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practice competency and climate change responses and prospects.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impact of emotions toward climate change on climate change responses, 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concern and is significant that it examined the level of youth's understanding on climate change and explore ways to reinforce i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Hyeyoung Jo). (2025).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17-34

MLA

조혜영(Hyeyoung Jo).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1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