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chool Spa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정(Hye Jeong Kim) 이문수(Moonsoo Lee) 조정화(Jeong Hwa Cho) 김소라(Sora Kim) 이필남(Pil Nam Yi) 이경선(Kyungs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공간 개선시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육적 효과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본 척도는 선행연구와 관계자 심층면담을 통해 4개 영역인 ‘학교 공간의 기본 요건’, ‘학교 공간의 특성화 요건’, ‘학교 공간 활용 경험’, ‘교육성과’ 75개의 예비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조사는 초등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75개 문항에 대한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쳐 선정된 68개 문항에 대해 초등학생 273명, 중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진행하였고, 문항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측정학적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학교 공간의 기본 요건’, ‘학교 공간의 특성화 요건’, ‘학교 공간 활용 경험’, ‘교육성과’의 4개 영역, 총 68문항으로 확정하였고, 전체적인 요인 구성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χ2=735.808 (p<.001), CFI=.943, TLI=.933, RMSEA=.083으로 나타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4개의 각 영역별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학교 공간의 기본 요건’ 영역의 CFI=.951, TLI=.939, RMSEA=.063, ‘학교 공간의 특성화 요건’ 영역의 적합도 지수는 CFI=.941, TLI=.925, RMSEA=.075, ‘학교 공간 활용 경험’ 영역은 CFI=.973, TLI=.963, RMSEA=.077, ‘교육성과’ 영역은 CFI=.942, TLI=.934, RMSEA=.067로 나타나 각 세부 영역별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신뢰도 분석 결과, 전체 척도의 Cronbach’s 는 .981으로 나타났으며, 4개 영역의 Cronbach’s 는 각각 .932, .942, .959, .955로 높게 산출되었다.
결론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는 학생의 학교 공간 요건에 대한 인식 및 학교 공간 활용 경험을 바탕으로 인지되는 교육적 효과를 조사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ace Scales for School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perceived by students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school spac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cale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ing in 75 item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School space fundamental condition”, “school space specialized condition”, “school space utiliz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outcomes.” In the study 1,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onducted on 22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scale refinement. Following a process of revision and refine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final 68 items was conducted on 2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08 middle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inclu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The EFA results confirmed a final scale consisting of four factors: School space fundamental condition, school space specialized condition, school space utiliz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outcomes, with a total of 68 item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verall factor structure, CFA was performed,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χ²=735.808(p<.001), CFI=.943, TLI=.933, and RMSEA=.083,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fit for each of the four domains revealed the following: for school space perception, CFI=.951, TLI=.939, RMSEA=.063; for school space specialization, CFI=.941, TLI=.925, RMSEA=.075; for school space utilization experience, CFI=.973, TLI=.963, RMSEA=.077; and for educational outcomes, CFI=.942, TLI=.934, RMSEA=.067, indicating that the factor structures of each subdomain were appropriate.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cale showed a Cronbach’s alpha of .981 for the overall scale, and .932, .942, .959, and .955 for the four domains, respectively, indicating high reliability.
Conclusion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Space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assessing the educational effects perceived by student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pace elements and their experiences of utilizing the school spa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한중 노인 학습자 음악 학습 동기, 의향 및 학습 태도에 대한 특성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3호 목차
- 학교 공간의 교육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s⋅Prospects, and Practice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limate Change Problem Perception
- 대학 강의우수교원의 수업 준비와 운영: 네트워크 시각화와 체제적 교수 설계 분석
- 간호대학생의 안전동기, 개인적 태도, 표준주의 안전환경이 환자안전관리 행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선다형 평가에서 문두 종결 표현 방식에 대한 고찰: ‘알맞은’과 ‘적절한’을 중심으로
- 아동의 괴롭힘 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을 통한 적대적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Dewey의 경험 철학에 근거한 AI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방향성 고찰
- 대학생의 충동성과 비자살적 자해간 관계: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비난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교사관련 국내 유아미술교육 연구동향 분석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자존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남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동과 에너지 영역 성취기준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학업 성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중학생-교사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미술 매체로서 인공지능의 의미와 미술교육적 함의
- 한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공포 경험과 자기수용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융합된 가족관계에서 성장한 중급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과학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국제저명학술지를 중심으로
- 협동어린이집에서 Steiner의 교사협의체(Kollegium) 적용 및 운영과 영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
- 산후우울증을 경험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교육학 박사학위 취득 여정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발달장애중학생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와 직업 수업모형 개발
- 간호대학생의 간호정보핵심역량과 비판적사고성향이 간호실무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K-MOOC를 활용한 대학 수업 사례 연구
- 고교학점제 학생 과목 선택권 격차 해소 방안 탐색: 교사 자원 및 지역 자원 활용 중심으로
- 흡연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비문해 여성 노인의 문해교육 경험과 삶의 변화: 초등 학력 후 과정에 재학 중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Views on Educators’ Roles and Qualities
-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몰입과 상호작용, 학업성취도 비교 및 교수 전략 탐색
- 사회초년생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가능성 고찰
- 외국계 기업 구성원의 의사소통능력, 혁신행동, 셀프리더십에 관한 교육요구분석
- Jung의 분석심리학에 바탕을 둔 박인환 시 읽기
- 초등 5-6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특성
-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소진의 매개효과와 질적 경험 분석
- 대학생의 완벽주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 유형
- 교육학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활용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2013-2024년) 분석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놀이전문성, 디지털 놀이 지원 역량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스포츠 치어리딩 동아리 설립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한국어 집중 캠프의 설계 및 운영 사례: 광주 지역 이주배경 중학생을 대상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역 교육과정 발전 방향 탐색: 충청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통제능력의 조절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