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n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채신영(Shin Young Chae) 원지윤(Jiyun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3호, 763~77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연구되었다. 방법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아교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계수로 산출하였고,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 디지털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과 디지털놀이 지원역량 간의 관계는 디지털놀이 지원역량과 유아코딩교육 인식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것은 유아코딩교육 인식과 디지털놀이 지원역량 간 상호 간의 관계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유아코딩교육 인식이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수학교수효능감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이 높을수록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이 높지만, 수학교수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결론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survey target was one hundred twenty-nin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Cronbach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the collected data, and Pearson’s Ratio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dditionally, the effect of the teachers’ on their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is in vestigated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recognition.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recognition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Second, awareness of coding education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 of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wherea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as not. This indicates that the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improves as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increases, while mathematic teaching efficacy doesn’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Conclusions This study would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to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teaching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신영(Shin Young Chae),원지윤(Jiyun Won). (2025).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13), 763-775

MLA

채신영(Shin Young Chae),원지윤(Jiyun Won).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3(2025): 763-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